자살자 수 1만2천463명…자살률, OECD 회원국 중 2위
60대 자살률은 크게 감소…"맹독농약 판매중단, 농약보관함 설치가 영향 미쳐"
자살시도 응급실 환자 35%가 '반복 경험'…37%는 "진짜 죽으려던 건 아냐"
2017년 우리나라에서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1만2천463명으로 자살자가 가장 많았던 2011년에 비해 3천443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로 응급실에 온 환자 3명 중 1명은 과거에도 목숨을 끊으려 한 적이 있었고, 3명 중 1명 이상은 '도움을 얻으려 했지 정말 죽으려 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11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공개한 '2019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의 자살자 수는 1만2천463명으로 2016년 1만3천92명보다 629명(4.8%) 감소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를 의미하는 자살률은 2017년 24.3명으로 2016년 25.6명에 비해 1.3명(5.1%) 감소했다. 자살자 수가 가장 많았고 자살률이 제일 높았던 2011년(1만5천906명, 31.7명)보다는 3천443명이 줄었다.
남성의 자살률(34.9명)이 여성(13.8명)보다 2.5배 높았고, 전체 자살 사망자 가운데 남성(8천922명)은 71.6%, 여성(3천541명)은 28.4%로 7대3 비율을 보였다.
자살 사망자는 50대(2천568명)에서 가장 많았다. 자살률은 대체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전년과 비교할 때 대부분 연령대에서 자살률이 감소했다. 특히 60대 자살률(2016년 34.6명→2017년 30.2명)이 두드러지게 낮아졌다.
자살 동기는 연령대별로 달랐다. 10∼30세는 정신적 어려움, 31∼50세는 경제적 어려움, 51∼60세는 정신적 어려움, 61세 이상 육체적 어려움 때문에 자살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간 자살률을 비교하면, 우리나라(2016년 기준 25.8명)는 리투아니아(2016년 기준, 26.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청소년(10~24세) 자살률(7.6명)은 OECD 회원국(평균 6.1명) 중 열한 번째로 높았고, 노인(65세 이상) 자살률(58.6명)은 OECD(평균 18.8명)에서 가장 높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