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청와대가 자유한국당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두 가지 사건이 있었다. 하나는 문재인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한미 정상 통화 유출과 관련해 자유한국당을 콕 집어 비판한 일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당 주최 강원도 산불대책회의에 6개 부처 차관과 한전 부사장 등 전원이 불참한 해프닝이다. 문 대통령이 한국당을 노골적으로 무시하고 배척하는 자세를 드러내면서 어떻게 꼬인 정국을 풀어가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한국당을 겨냥해 "정상 통화까지 정쟁 소재로 삼고, 이를 두둔 비호하는 정당의 행태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 "기본과 상식을 지켜주길 요청한다"고 훈계했다. 또 "당리당략을 국익과 국가 안보에 앞세우는 정치가 아니라 상식에 기초하는 정치여야 국민과 함께 갈 수 있다"는 언급도 했다.
한국당이 잘했다거나, 문 대통령의 말이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대국적인 견지에서 보면 문 대통령의 비판적인 멘트는 국정 현안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행동이다. 청와대 대변인이나 여당 지도부를 놔두고 대통령이 나서는 것은 국민에게 직접 호소하는 효과를 주기는커녕 '속 좁은' 감정풀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줄 수밖에 없다.
청와대의 지시인지, 알아서 그랬는지 모르겠으나 한국당 주최 산불 대책회의에 차관 전원을 불참시키는 치졸한 대응을 하면서 여권이 '국회 정상화' 운운하는 것도 우습다. 한국당의 무조건 국회 복귀가 당연하지만, 이런 분위기라면 한국당이 아니라 그 누구라도 대통령의 국회 정상화 요구에 수긍하기 어렵다.
문 대통령이 한국당을 타도 대상 혹은 무릎 꿇리는 상대로 봐서는 정국이 풀릴 수 없다. 정치는 시시비비를 가리기보다는 협상하고 타협하는 것이다. 대통령이 '통 크게' 인식을 바꾸지 않으면 국정 표류는 물론이고 국민도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