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풍석포제련소의 불법이 환경부에 적발돼 또 다른 환경오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달 제련소 점검에서 밝혀낸 6가지 법률위반 사실은 영풍석포제련소에 대한 불신을 더 할 수밖에 없다. 이미 경북도로부터 조업정지 20일 조치를 받은 터여서 약 4개월의 추가 조업정지 처분 조치 거론을 자초한 셈이다.
무엇보다 놀라운 일은 제련소의 배짱이다. 무허가로 공장 내 지하수 관정을 52개나 파 물을 퍼내 썼으니 말이다. 더 심각한 사실은 33곳 관정의 지하수 시료 분석 결과인데, 1급 발암물질인 카드뮴 농도가 공업용수 기준치의 최고 3만7천662배였다. 제련소 주변의 황폐화된 죽은 임야도 모자라 이제는 제련소 터 아래 땅과 물의 심한 오염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또 다른 묵과할 수 없는 일은 바로 이런 오염 지하수의 공장 밖 하천 유입 정황이다. 제련소 하류 5㎞,10㎞ 지점에 설치한 환경부 수질 측정망에서 비가 적게 내린 지난해 12월~올해 3월까지 카드뮴 농도가 하천 수질 기준을 반복 초과했다. 이는 공장 운영에 따른 오염된 지하수의 외부 유출을 막으려 관정을 파 물을 퍼냈다는 회사 해명을 믿기 어렵게 한다.
회사 설명처럼 무허가 개발 관정이 과연 오염 지하수의 유출을 대비한 '수질오염 사고방지 시설'이라면 굳이 봉화군에 허가도 받지 않고 팔 까닭이 없지 않은가. 또 공장 밑 지하수였든, 공장 밖 계곡수였든 이를 측정할 유량계 설치와 운영일지 작성조차 없이 공업용수로 쓴 사실도 의심을 살 만한 행위임이 틀림없다.
제련소가 이런 불법에 따른 당국 조치에 또 소송으로 맞서겠지만 앞서 회사가 할 일이 있다. 오염된 물의 외부 유출을 막는 최우선 조치다. 이는 낙동강 물을 먹고 사는 사람은 물론, 동식물의 생명을 위한 최소한의 예의다. 긴긴 시간 소송으로 버티는 사이 자연이 망가지는 재앙만은 차마 그냥 둘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