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공 선택한 시진핑, 애국주의로 美 압박 극복 노리나

입력 2019-05-14 15:27:25

'신중국 70주년' 맞아 강한 지도자 이미지 부각하며 내부 결속
"미·중 모두 타격 커…'스트롱맨' 기싸움 오래 못 가" 전망도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왕 위원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왕 위원은 "미중 무역협상은 일방적이어서는 안된다"며 "평등한 기초 위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기자들과 회견 중 기존 고율 관세를 부과한 2천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외에 나머지 3천25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기자들과 회견 중 기존 고율 관세를 부과한 2천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외에 나머지 3천25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미국과 정면 대결을 피해오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고심 끝에 결국 미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라는 맞대응 카드를 꺼내 들었다.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경제에도 큰 내상을 입힐 것으로 보이는데도 시진핑 주석이 대미 강공을 선택한 것은 신중국 70주년을 맞아 강력한 중국 최고 지도자의 위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국내 불만을 미국에 맞서는 애국심으로 돌려 민심을 수습하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미국은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2천억 달러(약 235조6천억원) 규모의 5천700여개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25% 인상했다. 중국은 사흘이 지난 1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은 보복 조치를 해선 안 된다"는 트위터 압박이 나온 지 불과 두시간 만에 보란 듯이 6월부터 미국산 제품 600억 달러어치에 대해 최고 25%의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며 맞불을 놨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미국과 원만한 합의를 위해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지식 재산권 보호 등 미국 측에 양보하는 협상을 해왔다는 매파들의 지적을 받아왔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더 커지자 중국 지도부도 일단 강공을 취하며 내부의 전열을 가다듬는 쪽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은 오는 10월 신중국 창립 70주년 행사를 앞두고 있다. 개혁 개방에 따른 경제 성과를 자랑하고 이를 통해 시진핑 주석을 국제사회의 강력한 지도자로 선전하려는데 미국이 고비마다 발목을 잡자 중국도 맞대응 카드를 내민 셈이다.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당당하게 맞서는 모습을 중국인들에게 보여주면서 애국심 고취를 통해 복잡한 국내 문제까지 한꺼번에 해결하자는 복안이 깔려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올해 톈안먼 사태 30주년 등 민감한 현안이 산적해 있고 경기 둔화로 폐업이 속출하며 지방 민심이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애국주의는 효과적인 무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중 양국의 스트롱맨인 시진핑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의 기 싸움이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이들 모두 이런 상황이 지속하면 미·중 양국에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달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중에 미·중 정상 회동에서 합의에 이르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휴전은 선언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G20에서 시 주석을 만날 것이라고 언급한 점은 양국 정상 간에 상황 타개를 위한 모종의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