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이용객 91만명' 대구 나드리콜, 예산은 '태부족'… '8월 중단 위기'

입력 2019-05-05 22:00:00

전체 57% 차지하는 개인택시 보조금 7월 고갈 위기… 추경 없이는 '파행운영' 불가피

대구시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대구시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나드리콜'이 예산 부족으로 8월 중단 위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매일신문DB.

올해 10주년을 맞은 대구시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나드리콜'이 태부족한 예산 탓에 운행 차질 위기에 내몰렸다.

추경예산 편성을 통해 운영비를 더 확보하지 못한다면 운행 횟수를 크게 줄이거나, 최악의 경우 아예 중단하는 사태까지 우려해야 할 상황이다.

대구시와 대구시설공단은 올해 나드리콜 서비스에 배정된 개인택시 운행보조금 24억원 가운데 약 58%에 달하는 14억원을 지난달까지 이미 소진했다고 6일 밝혔다. 나드리콜은 교통약자의 신청을 접수하면 휠체어용 직영 특장차량을 보내거나, 협약을 맺은 개인택시를 보내고 택시요금을 일부 보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중 수가 한정적인 특장차량보다 260대에 달하는 개인택시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다. 지난해 91만630건의 나드리콜 이용 실적 가운데 약 57%인 52만2천289건이 개인택시로 나타났다.

때문에 이 같은 추세라면 7월 말쯤 보조금이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대구시는 보고 있다. 추가 운영비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남은 5개월 동안 다른 예산을 돌려쓰거나, 운행 횟수를 줄이는 등 사실상의 '파행 운영'이 불가피한 셈이다.

이런 상황은 택시요금 인상에 따른 예산 증가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탓이다. 지난해 11월 택시요금이 평균 14.1% 오르면서 보조금 부담도 덩달아 크게 뛰었지만, 정작 올해 개인택시 보조금 예산은 지난해 실제 집행된 금액(31억원)보다 적은 20억원만 편성됐다.

전체 운영비는 145억원에 달하지만, 대부분 휠체어용 특장차량 운전기사들의 인건비 등 고정비용으로 배정됐다.

전근배 420장애인차별철폐대구투쟁연대 정책국장은 "보조금 부담이 크게 늘었지만 예산은 오히려 삭감돼 예산 고갈 사태를 자초했다"며 "교통약자들을 위한 안정적 보조금 책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구시는 7월 추경예산에 나드리콜 보조금 20억원을 편성, 운행 중단만은 막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애초 택시요금 인상분까지 고려해 160억원의 예산안을 제출했지만 심의 과정에서 삭감됐고, 추경 때 우선 고려하겠다는 의견을 받았다"면서 "중단할 경우 교통약자들의 큰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반드시 추가 운영비를 확보해 사업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