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원해연'…경북도 원전산업 육성 전략은?

입력 2019-04-30 13:23:39 수정 2019-04-30 18:25:12

신규 원전해체 국책 사업 발굴·원전해체 인력양성에 총력전
가칭 국제에너지과학연구단지 조성·IAEA 동북아분소 유치도

중수로해체기술원 예정지인 경주시 감포읍 일대 현장 모습. 경북도는 이곳을 가칭
중수로해체기술원 예정지인 경주시 감포읍 일대 현장 모습. 경북도는 이곳을 가칭 '국제에너지과학연구단지'로 조성, 미래 원자력 융복합산업시대를 준비할 계획이다. 경북도 제공
중수로해체기술원 예정지인 경주시 감포읍 일대 현장 모습. 경북도는 이곳을 가칭
중수로해체기술원 예정지인 경주시 감포읍 일대 현장 모습. 경북도는 이곳을 가칭 '국제에너지과학연구단지'로 조성, 미래 원자력 융복합산업시대를 준비할 계획이다. 경북도 제공

정부가 지난달 15일 원전해체연구소 입지선정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경상북도의 미래 원자력산업 육성전략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북도는 해체 중심의 원전후기산업에 대응하고, 나아가 R&D 중심의 '미래 원자력 융복합산업시대'를 대비하는 데 총력전을 벌일 계획이다.

◆원전해체 신규사업 발굴

경북도는 경주가 가칭 '중수로해체기술원' 입지로 선정된 만큼 앞으로 수십조원 규모의 세계 중수로 원전해체 시장 선점에 나설 각오다.

경수로 원전은 미국, 독일, 일본 등을 중심으로 20기 정도가 해체 완료 혹은 해체 중인데 중수로 원전은 해체 사례가 없다. 원전 1기를 해체하는 데 1조원 정도가 드는 점을 고려하면 세계 총 63기, 63조원의 중수로 원전해체 시장이 존재한다.

경주 중수로해체기술원의 역량은 세계 중수로 해체시장 장악여부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방사성폐기물정밀분석연구소(이하 방폐연) 설립은 정부를 상대로 건의하고 있다. 원전해체 때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방폐물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방폐물 데이터분석 시스템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명분이다.

경북도는 방폐물에 대한 한국수력원자력 등 발생자 중심의 검사에 더해 관리자(원자력환경공단)의 분석도 거쳐 반입하는 체계와 기술을 갖추려면 방폐연이 필요하다고 본다.

추정하는 방폐연 건립비는 1천억원 규모이며 정부 역시 도의 구상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어 설립 가능성이 높다.

◆원전해체 전문인력 양성

경북도는 원전해체 산업의 성공여부가 전문 인재를 얼마나 충분히 확보하느냐에 달렸다고 본다.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해체 관련 전문인력 2천600여 명이 필요하다고 추정하지만, 현재 인력은 250여 명에 머물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포스텍, 경북대, 영남대, 동국대, 위덕대 등 지역 5개 대학에 예산 4억원을 투입해 7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하고 있다.

대학이나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원전해체기술을 도내 기업으로 이전하기 위한 사업에도 도비 3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이 과정에서 원전해체기업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대학생, 연구원 등 150명 정도의 고급 청년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장기적으로 국내 원전해체 시장의 낙수효과도 노리고 있다. 가동원전 24기, 정지원전 2기, 건설 중 원전 4기까지 국내 총 30기 원전이 해체(기당 1조원)될 것을 가정할 때 검사비용(기당 4천억원) 등을 제외한 순수해체비용(기당 6천억원)은 18조원에 달한다.

경북도는 도내 14기의 해체비용에 해당하는 8조4천억원이 고스란히 지역에 돌아오도록 총력전을 벌일 작정이다.

◆가칭 '국제에너지과학연구단지' 조성

경북도가 새롭게 주목하는 분야는 원자력융복합 신산업 육성이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경주시 감포읍 일대에 330만 ㎡ 규모의 대단위 '국제에너지과학연구단지'(가칭)를 조성하겠다는 비전을 세워놨다.

이곳에는 이미 가동 중인 원전이 있고 중수로해체기술원, 원전현장인력양성원이 들어설 예정이며 방폐연 입지로도 검토되고 있다. 나아가 경북도는 이곳에 국제원자력기구(IAEA) 동북아분소도 유치해 원자력연구 기능을 갖춰나갈 복안이다.

이렇게 되면 원전 연구와 설계-운영-해체-처분으로 이어지는 '원자력 사이클'이 도내에 완성되고 원자력융복합산업 육성의 인프라가 마련된다.

경북도는 상반기 내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경상북도 원전해체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한 조례'도 제정하고 행·재정적 지원 근거를 담을 복안이다.

올해 중으로 '원전해체 및 신산업육성 지원센터'를 구축, 원전해체와 신산업 과제발굴·육성 등으로 지역기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분야에 대한 조사·연구·컨설팅도 맡긴다. 또한 29개 원전해체기업을 회원사로 운영 중인 원전해체산업기술연구조합, 지역대학, 관련 기업 등과 새로운 원전산업군 형성·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도 준비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앞으로의 원전산업은 단순한 전력생산 위주의 상업운영에서 벗어나 원전사고 예방, 진단, 대응 기술과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분야로 확장될 것"이라면서 "원전해체 및 미래원전산업 육성으로 경북도의 도약을 이끌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