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이 최근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원인 파악이 어려워 보건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28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국의 A형 간염 확진자는 3천549명이다.
이는 지난해 감염자 2천436명보다 45.7%(1천113명) 많다. 이런 추세라면 최근 몇해 사이 감염자가 4천419명으로 가장 많았던 2017년 수준을 훌쩍 넘어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천35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서울(570명)이다. 두 지역 감염자가 전국의 45%나 된다. 인구가 많은 탓도 있겠지만 문제는 두 지역의 감염자 수가 매달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건당국은 A형 간염 확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잠복기가 15∼50일로 다른 감염병보다 길어 집단 감염자들이 이 기간 무엇을 함께 섭취했는지를 파악하는 게 쉽지 않은 탓이다.
A형 간염 확진자의 70% 이상은 30∼40대이다.
A형 간염은 간염 바이러스의 한 종류인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염으로 고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인다. 물이나 식품을 매개로 감염되기 때문에 집단 발병 우려가 높은 제1군 감염병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