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카자흐 양국 정상회담 "신북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

입력 2019-04-22 17:38:07 수정 2019-04-22 17:53:20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현지시간) 누르술탄 대통령궁에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신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현지시간) 누르술탄 대통령궁에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신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평화·번영을 위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카자흐스탄의 수도 누르술탄에 위치한 대통령궁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최근 한반도 정세와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을 설명하고 카자흐스탄 정부의 변함없는 지지와 성원에 사의를 표했다.

이에 토카예프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을 강력히 지지한다면서 북한의 비핵화 및 국제사회로의 관여를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양 정상은 또 카자흐스탄의 비핵화 경험이 한반도 비핵화에 참고할 만한 사례가 된다고 보고 이와 관련한 양국 간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회담에서 "카자흐스탄이 신북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면서 신북방정책과 카자흐스탄이 추진 중인 '카자흐스탄-2050' 국가발전전략의 연계를 통해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공동 번영을 함께 이뤄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카자흐스탄 2050' 국가발전전략은 30위 내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카자흐스탄 정부가 추진 중인 장기적 국가발전전략이다.

경제 협력과 관련해 양국 정상은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와 카자흐스탄의 산업인프라개발부 간 신규협력 프로그램인 '프레시 윈드(Fresh Wind)'를 통해 통관·인프라·보건·의료·관광 등 협력을 다변화하기로 했다. ICT(정보통신기술), 5G,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e-헬스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정상회담 직후 양국 정상은 정상회담 성과를 담은 '한-카자흐스탄 정상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7건의 조약 및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가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