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급자 "소비 절반으로 줄였다…82세에는 금융자산 마저 소진"

입력 2019-04-22 17:02:02 수정 2019-04-22 19:40:06

수급자의 61.5%는 받은 국민연금 모두를 생활비용으로 지출

연금수급자의 노후생활비용 현황.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연금수급자의 노후생활비용 현황.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제공

국민연금 수급자 절반은 은퇴 후 소비수준이 현역 시절 5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연구소)가 22일 펴낸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연구소가 65∼74세 국민연금 수급자 65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현재 생활 소비수준이 현역 시절의 50% 미만이라고 답한 비중이 48.6%에 달했다. 현재 소비수준이 현역 때의 30%도 안 된다고 응답한 비중도 15.8%였다. 현역 시기와 비슷한 소비수준을 유지하는 사람은 0.6%에 불과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현재 노후 생활비용은 월 평균 201만원이었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최소 노후생활 비용인 183만원은 넘는다. 하지만 여가생활 비용 등을 포함한 적정 생활비용 264만원에는 약 60만원 모자란다.

현역 시기에 자신을 상류층이라고 인식한 은퇴자 81.3%가 은퇴 후 자신이 중산층으로 이동했다고 봤고, 6.3%는 은퇴 후 저소득층이 됐다고 했다. 현역 때 중산층이라고 생각한 사람의 25.9%는 은퇴 후 저소득층으로 이동했다고 여겼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12.8%는 20∼30대부터, 41.7%는 40대부터 노후자금 준비를 시작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현재 노후 생활비용은 대부분 적정 수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설문 참여자는 자신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이 평균 82세에 소진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의 52.6%는 금융자산을 소진한 뒤 추가자금을 마련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33.8%는 자녀 부양을 기대한다고 답했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61.5%는 지급받은 국민연금을 전액 생활비용으로 지출하고 있고, 금융상품에 투자하거나 저축하는 사람은 27.1%에 그쳤다. 금융상품 가운데 연금(19.9%)과 건강보험 상품(18%) 등의 선호도가 높았다. 예·적금(9.5%), 투자상품(4.6%)이 뒤를 이었다.

퇴직 후 국민연금 수급자의 42.3%가 소득활동을 지속하고 있었다. 소득활동 주요 이유로는 47.3%가 생활비 마련을 꼽았다. 이 밖에 소일거리 목적(18.5%), 자아 실현(8.4%), 소속감(9.1%), 보람(7.3%) 등 금전 외의 만족을 위한 경우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