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대구민주운동과 김주열 열사 및 4·19혁명 관련 시 신문, 잡지에 발표 민주화에 기여
1960년 자유당 정권 당시 2·28 민주운동과 3·15 마산의거, 4·19혁명 등과 관련된 시를 신문 잡지에 발표해 민주화에 기여한 서지(西芝) 김윤식(1928~1996) 시인. 김 시인이 세상을 떠난 지 13년 만에 올해 정부로부터 4·19혁명 유공자로 건국포장을 받는다.

김 시인은 경산 용성면 덕천리 출신으로 홍익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57년 시집 '오늘'을 발표한 후 시동인회 청맥·시림 창립회원으로서 활동했다. 한때 경주여고에서 교직생활을 하다가 접고, 운문산 자락에서 농사를 지으며 시를 쓰고 농촌계몽운동을 하는 참여시인이자 저항시인이었다.

김 시인은 1960년 2월 28일 손수 농사지은 땅콩을 내다 팔고자 대구 염매시장으로 가던 중 대구 학생의거 데모대를 만났고, 당시 경북도청(현 경상감영공원)으로 진입하려다 경찰관의 제지로 진압으로 흩어지거나 잡혀가는 학생들을 목격했다.
그는 이같은 역사의 현장을 목격하고 분을 삭일 수 없어 그 길로 평소 드나들던 향촌동 '호수다방'으로 직행해 불과 1시간여 만에 '아직도 체념할 수 없는 까닭-2.28 대구 학생 데모를 보고'시를 썼고, 이 시는 3월 1일 자 대구일보에 게재됐다.
김 시인은 같은 해 3월 3·15마산 의거와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사체로 발견된 고 김주열을 애도하는 시 '강이여 산이여 봄이여'를 대구매일신문 4월 15일 자에 발표했다.
두 편의 시는 총칼이 난무하던 자유당 집권 시기에 발표되고 2·28민주운동과 3·15 마산학생시위를 자유당 정권의 폭정과 독재에 항거하는 학생들의 의거로 찬양하면서 그 정권을 반민주 독재정권으로 규정 증언한 유일한 시로 평가받고 있다.
김 시인은 그해 3월 30일과 31일 2회에 걸쳐 대구매일신문에 '사이비 학자 교사에게'란 제목의 글을 연재해 불의에 꿀 먹은 벙어리 노릇을 하는 지식인들을 성토하기도 했다.
그는 시국사범으로 체포돼 연행되던 중 탈출해 서울로 피신해 있다가 4·19 혁명을 체험하고 시 '합장'을 '새벽' 1960년 6월호에 발표했다. 이후 자유당 독재정권이 무너지고 5·16 이후에도 달라진 것은 별로 없자 박정희 정권을 비판한 장편시 '4월에 ,종이여'를 1964년 4월 19일 대구매일신문에 발표했다.
김 시인은 고향에서 머물며 시를 쓰고 농촌계몽운동을 했다.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 등 5권의 시집을 발간했고, 향토 출신 항일 여류소설가 백신애를 30여년간 추적한 '백신애 연구'와 소설집 '꺼래이'를 발표해 한국문학사에 크게 기여했다.
경산문학회와 한국문협 경산지부를 창립해 초대 지부장을 역임했고, 농촌계몽운동으로 향토문화공로상(상록수상)과 경상북도 문화상을 수상했다.
김 시인이 발표한 시는 4·19민주묘지에 '합장' 시비를 비롯해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에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 시비 등 6곳에 시비가 세워졌다.
김 시인의 장남 김약수(66) 전 대구미래대 교수(경산학연구원장)는 "선친은 생전에는 많은 고초를 겪었고 지식인으로 뜻을 펴지 못했지만, 초연하고 일관성 있게 살아오셨다"면서 "뒤늦게나마 국가에서 아버지가 시를 통해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공을 인정해 줘 저세상에서도 기뻐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