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선, 국민눈높이 어긋난다고 누가 단언?"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주식거래 논란에 대해 "'국민의 눈높이'에 어긋난다고 누가 단언하는가"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낸 전수안(67) 전 대법관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수안 전 대법관은 1952년 부산 출신으로 1971년 경기여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법과대학에 진학해 1975년 졸업했다. 1976년 사법고시 18회에 합격한 전 전대법관은 1978년 판사로 임용된 후 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광주지방법원장 등을 지냈다. 2006년에는 2012년 퇴임했다.
전 전 대법관은 노무현정부 시절인 2006년 7월 이용훈 당시 대법원장 제청으로 임명돼 김영란 대법관에 이어 두 번째 여성 대법관이 됐다. 이명박정부 마지막 해인 2012년 7월퇴임했다. 대법관을 지낼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임명된 진보 성향의 대법관들이라는 점에서 김영란·이홍훈·김지형·박시환 전 대법관과 함께 '독수리 5형제'로 불린 바 있다.
퇴임 후 변호사로 일하는 대신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이사장을 맡는 등 공익·인권 분야에서 맹활약을 해왔다. 올해 2월에 국립대학법인 서울대 이사회의 새 이사장에 선출됐다. 임기는 오는 2020년 1월까지 약 2년이다.
아래는 전 전 대법관이 SNS를 통해 올린 글 전문.
1. 나도 악플이 무섭고, 다른 의견 사이에 오가는 적의가 두렵다. 조국인지 고국인지의 거취는 관심도 없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다는 프레임이 '국민'으로부터 나온 것인지 알고싶을 뿐이다. '부실한 청문회'와 언론이 포기한 기능이 빚어낸 프레임을 '부실한 후보' 탓으로 호도하는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
2. 법정밖 세상에는 유죄추정의 법칙이 있는 것 같다. 어렵게 겨우 또 하나의 여성재판관이 탄생하나 했더니, 유죄추정의 법칙에 따라 안된다고들 한다. 노동법 전공에 진보라는 이유로 반대하는 입장은 이해가 되지만, 유죄추정의 법칙에 따라 반대하는 것은 안타깝다.
3. 후보자는 (여성이 아니더라도)법원 내 최우수 법관 중 하나다. 법원행정처 근무나 외부활동 없이 재판에만 전념해 온 경우라 법원 밖에서는 제대로 모를 수도 있으나, 서울중앙지방법원 초임판사 시절부터 남다른 업무능력으로 평판이 났다. 재판연구관으로 근무하는 동안 대법관들 사이에, 사건을 대하는 탁월한 통찰력과 인권감수성, 노동사건에 대한 전문성을 평가받고 공인받았다. 이례적으로 긴 5년의 대법원 근무가 그 증거다.
4.강원도 화천의 이발소집 딸이 지방대를 나와 법관이 되고 오랫동안 부부법관으로 경제적으로도 어렵게 생활하다가, 역시 최우수 법관이었던 남편이 개업하여 아내가 재판에 전념하도록 가계를 꾸리고 육아를 전담하고 하여 법원에 남은 아내가 마침내 헌법재판관이 되는 것이 '국민의 눈높이'에 어긋난다고 누가 단언하는가.
5. 이렇게 더디고 힘들어서야 언제쯤 성비 균형을 갖추게 될까. 그런 날이 오기는 할까. 재판관 9인중 2인과 3인(30%분기점)의 의미가 전혀 다르다는 것은 사회과학에서 이미 검증된 결과다. 여성 후보에게 유독 엄격한 인사청문위부터 남녀 동수로 구성되기를 바란다. 2006년에 한 후보자는 '여성이 (주심)대법관이 된다면 성범죄등 남성피고인이 (편향된 재판을 받을까봐)얼마나 불안하겠는가' 라는 청문위원의 질타를 속수무책으로 듣고 있어야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