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수단 군부 "2년 안에 문민정부에 권력 이양"

입력 2019-04-14 16:27:24 수정 2019-04-14 16:29:51

축출 바시르 前대통령 철권통치 '행동대장'역 정보수장 사퇴

수단의 군부 과도 통치기구인 군사위원회 안의 정치위원회를 이끄는 장성 오마르 자인 알-아브딘이 12일(현지시간) 수도 하르툼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그는 이날 회견에서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이 축출된 것과 관련,
수단의 군부 과도 통치기구인 군사위원회 안의 정치위원회를 이끄는 장성 오마르 자인 알-아브딘이 12일(현지시간) 수도 하르툼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그는 이날 회견에서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이 축출된 것과 관련,

30년간 수단을 통치한 독재자 오마르 알바시르가 반정부 시위와 군부에 축출당한 뒤 혼란을 수습하겠다고 나선 수단 군부는 2년 안에 문민정부가 수립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군부의 지도자 격인 압델 팟타 알부르한 과도군사위원회 위원장이 13일(현지시간) 현지 방송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고 로이터통신 등 주요 매체가 보도했다.

알자지라 방송은 부르한 위원장이 반정부 시위를 조직한 대표들과 만나서도 같은 내용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부르한 위원장은 또 야간 통행금지를 해제하고 바시르 정부가 체포한 반정부 시위 관련자를 석방하라고 지시했다.

수단에서는 지난 넉 달간 전국적인 반정부 시위로 위태로워진 바시르 대통령이 결국 11일 군부에 의해 축출당했다.

군사쿠데타로 바시르를 몰아낸 뒤 과도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아와드 이븐 아우프 국방장관은 취임 하루만인 12일 위원장을 부르한 중장에게 넘기고 퇴진하는 등 혼선을 빚었다.

바시르 독재 정부를 사실상 무너뜨린 '시민혁명'을 조직한 지도부는 13일 이에 그치지 말고 문민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계속 시위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바시르 정부가 붕괴한 11일과 12일에도 총기 난사로 시위 참가자 16명이 사망했고 일부 상점이 약탈당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아와드 이분 아우프 수단 국방장관이 지난해 11월 수도 하르툼에서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다. 아우프 국방장관은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을 쿠데타로 축출한 뒤 11일(현지시간) 2년간 수단을 과도 통치할 군사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으나 하루 만인 12일 사임했다. 연합뉴스
아와드 이분 아우프 수단 국방장관이 지난해 11월 수도 하르툼에서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다. 아우프 국방장관은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을 쿠데타로 축출한 뒤 11일(현지시간) 2년간 수단을 과도 통치할 군사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으나 하루 만인 12일 사임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