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을 수놓던 벚꽃도 이제 붉은 기운만 조금 남았다. 산불과 폭설의 시련에도 화사한 꽃의 향연은 계속 이어진다. 라일락과 철쭉, 복사꽃, 진달래, 이팝나무꽃이 색과 향기로 가득 채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맘때 경산 남산면 반곡지는 전국의 상춘객이 찾는 명소다. 진분홍 복사꽃과 푸릇푸릇한 왕버들 세상이다. 대구 도심 동네 주변에도 꽃구경 명소들이 많이 생겨났다. 시청 별관 앞 신천동로변 벚꽃이 입소문을 타면서 매년 3월 말 만개한 벚꽃을 보려는 시민들로 붐빈다.
달구벌대로도 변신을 시작한다. 싱그러운 잎을 뻗어내는 느티나무와 조금씩 움을 틔우는 양버즘나무도 봄맞이가 한창이다. 5월 초 입하(立夏) 무렵 남산동 인쇄골목길 등 시내 곳곳의 이팝나무가 하얗게 거리를 수놓을 것이다.
이팝나무는 요즘 크게 뜨는 화목이다. 최근 10년간 대구시 가로수 식재 현황을 보면 이팝나무는 약 1만8천 그루가 늘어 가장 인기 있는 가로수로 이름을 올렸다. 수목 특성상 옮겨심기가 어려웠지만 수종 개량에 성공하면서 가로수로 가능해진 때문이다. 전체로 보면 여전히 은행나무가 23.3%로 가장 많고 느티나무(20.9%), 양버즘나무(13.5%), 벚나무(12.3%), 이팝나무(10.6%) 순이다.
지난해 벚꽃 구경(하나미·花見)을 위해 일본을 찾은 외국 관광객 중 한국인이 120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는 보도다. 600여 개 벚꽃 명소에서 일본인 포함 6천300만 명의 관광객이 쓴 돈만 3조원, 모두 6조6천억원의 경제효과가 있단다. 이쯤 되면 꽃구경이 그냥 꽃놀이가 아니다.
달성군 옥포면 교항리 이팝나무 군락지에는 300년이 넘는 33그루 등 약 500그루가 자생한다. 경산 자인면 계정숲도 50여 그루의 이팝나무 군락지다. 이제는 이팝나무를 가로수뿐 아니라 대규모 군락지를 조성해 관광자원으로 키워나가면 어떨까. 산림유산자원으로 보호만 할 게 아니라 지역 전체로 확산해 상징물로, 경제 활력을 키우는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