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비핵화 방안 한미간 이견만 재확인...야당 혹평

입력 2019-04-12 17:03:07 수정 2019-04-12 19:10:25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부인 멜라니아 여사를 만나 친교를 겸한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역대 한국 정상 가운데 대통령 부부가 오벌오피스에 초대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따른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부인 멜라니아 여사를 만나 친교를 겸한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역대 한국 정상 가운데 대통령 부부가 오벌오피스에 초대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따른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시간으로 12일 새벽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비핵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미국의 강경한 입장만 확인했을 뿐 가시적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했다. 미북 대화 재개의 필요성에는 상당 부분 의견 일치를 봤지만, 대북 제재나 남북 경제협력 등에서는 한미간 시각차를 재확인하는데 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조만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언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남북정상회담장으로 이끌어내는 시도가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현시점에서 우리는 빅딜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빅딜은 핵무기들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스몰딜'을 요구해온 김 위원장과의 뚜렷한 간극이 거듭 확인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앞서 남북경제협력을 지렛대 삼아 비핵화 진전을 이뤄내는 구상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개성공단 및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에 대해서도 "올바른 시기가 되면 큰 지지를 보낼 것"이라면서도 "지금은 올바른 시기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제재 문턱을 낮추는 방식으로 북미 간 간극을 좁히지는 않겠다는 미국의 기본원칙을 고수한 것으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3차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서도 "그것은 '스텝 바이 스텝'이다. 빠른 과정이 아니다. 빨리 간다면 올바른 합의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3차 북미정상회담을 서두르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한미정상회담에서 조만간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할 계획임을 설명했다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회담 직후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남북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등에 대해선 현재 정해진 것이 없다고 청와대는 말했지만 4월 27일 판문점 회담 1주년을 전후해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재 완화는 없다"는 미국의 메시지가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재확인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김 위원장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 카드가 과연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이 많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한미정상회담을 평가하며 "뜬구름 정상회담이었다. (미국에) 왜 갔는지 모를 정도로 정체불명의 회담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12일 밤 귀국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