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5G 과열경쟁 심화…KT는 기지국 수 과장·임직원 가입 독려 의혹

입력 2019-04-11 17:50:39

이통 3사 간 5G 가입자 유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일 KT의 갤럭시 S10 5G 론칭행사. 연합뉴스
이통 3사 간 5G 가입자 유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일 KT의 갤럭시 S10 5G 론칭행사. 연합뉴스

이동통신 3사 간 5G 가입자 유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KT는 지난 5일 공개한 5G 설비 현황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고, 임직원에 보조금을 지원해 5G 가입을 독려한 의혹도 사고 있다.

KT는 지난 5일 홈페이지에서 5G 설비를 구축했다고 밝힌 충남·호남 일부 지역이 실제로는 5G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지역은 KT가 노키아 장비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노키아가 제품 개발에 차질을 빚으며 1월까지 5G 설비를 공급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탓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5G 마케팅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검증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장비나 구축 예정인 장비까지 포함해 '최대 기지국 수' 홍보에 열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며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T가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하며 5G 가입을 독려해 5G 시장 과열과 이용자 차별을 조장한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KT는 자사 임직원들에게 5G 단말기 구매비용을 최고 120만원 지원하는 특가판매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5G폰 일반 구매 고객은 공시지원금만 받지만 보조금을 57만원 얹어주는 행위는 단통법 위반 소지가 있다.

이에 대해 KT는 "조작 의도가 있었다면 커버리지맵을 공개할 이유가 없다. 현장 실제 상황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다"며 "보조금 지원의 경우 2년에 한 번씩 직원의 스마트폰 교체비용을 지원하는 복지프로그램으로 차별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KT와 LG유플러스는 과장 광고 논란이 일었던 5G 일일 데이터 사용량 제한 조항을 삭제키로 했다. LG유플러스는 6월 말까지 '5G 프리미엄'과 '5G 스페셜' 요금제 가입 고객에게 제공하는 완전 무제한 혜택 기간을 종전 '연말까지'에서 '24개월간'으로 늘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