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외국인 근로자가 일하는 마사지 업소는 보건당국 관리 사각지대

입력 2019-04-09 18:05:11 수정 2019-04-10 09:18:38

에이즈 합병증으로 숨진 마사지 여종업원 행적 파악조차 어려워

포항 한 마사지 업소에서 일한 전력이 있는 외국인 여성이 지난 3일 AIDS(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합병증으로 숨진 사건과 관련(매일신문 9일 자 8면),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지만 '뒷북행정'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해당 여성과 관계인이 보건소로 전화해 에이즈 검사를 요구한 사실도 확인돼 보건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아쉽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당시 보건소가 '익명으로 검사는 가능하지만 확진서를 발급해 줄 수는 없다'고 해 검사가 이뤄지지 못했고, 이후 연락이 두절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전하게 운영하는 마사지 업소도 많지만 이번 사태와 같은 불상사를 막기 위해선 보건당국의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마사지 업소를 양지로 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9일 안마·마사지 업계에 따르면 외국인 여성 등이 근무하는 마사지 업소는 세무서에 신고만 하면 운영이 가능하다.

또 자유업이기 때문에 근로자들이 위생·보건 등과 관련된 업종인 유흥업소나 식당처럼 3~12개월 주기로 건강검진을 받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마사지 업소에 근무하는 여성의 경우 감염병 등에 걸려도 보건당국의 감시망에 포착되지 않는다.

반면 시각장애인 안마시술소의 경우 내부 구조, 안마사 자격증은 물론, 직원 수까지 모두 명시해 보건소에 신고서를 제출한 뒤 허가로 운영되는 까닭에 관리가 체계적이다.

보건당국도 마사지 업소의 관리 사각지대를 인정하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포항남구보건소는 9일 경찰 등 관련기관 관계자들과 긴급회의를 열고 에이즈 합병증으로 숨진 외국인 여성에 대한 역학조사와 거주지, 근무지 등을 확인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 마사지 업소에 대한 전반적인 보건관리대책도 협의했다.

포항남구보건소 관계자는 "여성이 이미 숨진 뒤여서 행적 파악은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제2, 제3의 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일부 마사지 업소에서 성매매 등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보건소의 단속 범위 밖의 일이어서 경찰 수사 외엔 방법이 없다"고 했다.

이와 관련, 포항지역 한 의료기관 관계자는 "에이즈 예방법이 워낙 환자를 철저하게 보호하도록 돼 있어 관련 기관끼리도 신원 정보 교류가 전혀 안 된다"며 "현재 해당 여성이 숨졌기 때문에 이번 사태 수습은 더욱 힘들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