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옛길박물관 소유 국내 유일 驛 호적대장, 경북유형문화재 지정

입력 2019-04-03 15:48:16 수정 2019-04-03 19:03:37

경북유형문화재 532호로 지정된
경북유형문화재 532호로 지정된 '사근도 형지안 ' 1747년 작성된 것이다. 문경시 제공

조선 왕조는 국가의 명령이나 공문서를 지방으로 전하러 가는 관리 등이 말을 갈아타거나 쉴 수 있도록 중간중간에 540여 개나 되는 역참을 설치했다.

역참에 배속된 말을 비롯해 역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 등 역인(驛人) 관리와 파발들의 휴식을 위한 잡일 등을 수행할 인력을 조직적으로 관리했다.

이를 위해 일반 군현의 호적과는 다른 역 호적대장을 작성했는데, 이것이 바로 형지안(形止案)이다.

문경옛길박물관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소장하고 있는 '사근도 형지안'(1747년 작성)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2호로 지정됐다.

사근도(沙斤道)는 경상도 함양의 사근역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로, 본역은 사근역이며 14개의 속역이 있다.

지금껏 전해 내려오는 형지안은 김천도형지안, 송라도형지안, 자여도형지안, 사근도형지안 등 4개이며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사근도형지안 외 나머지는 모두 일본에 있다.

문경옛길박물관에서 발굴한 국내 유일의 역인 장부인 것이다. 사근도형지안은 총 98장, 196쪽에 수록된 역인은 5천175명이나 된다.

여운황 문경시청 학예사는 "결락된 부분 없이 완전한 상태인 사근도형지안은 역의 호구 편성과 가족 구성 그리고 결혼 양태 분석을 통한 신분 변화 등을 연구하는 데 거의 유일한 자료"라며 "특히 역촌(驛村)의 사회사 연구에 사료 가치가 크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