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7년 총인구 3천365만명…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수 785명 전망
한국 인구가 최악의 경우 내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해 2067년에는 3천300만명대에 그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의 저위 추계 시나리오에 따르면 올해(2019년 7월∼2020년 6월) 총인구가 5천165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했다가 2020년부터 0.02%(1만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점점 감소 폭이 커지면서 2067년에는 총인구가 3천365만명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이는 1972년 총인구 수준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저위 추계 시나리오는 통계청이 출산율과 기대수명은 낮고 국제 순 유입이 가장 적은 가정을 조합해 내놓은 전망이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올해 출생아 수는 28만2천명, 합계출산율은 0.87명이다. 합계출산율은 2022년 0.72명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반면 사망자 수는 32만7천명, 인구 1천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사망률은 6.3%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된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저위 추계에서 합계출산율이 0.72명까지 떨어진다고 봤는데 합계출산율이 0.9명 미만으로 내려간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홍콩이나 마카오, 대만 등 도시국가 이외엔 없다"며 "이들 나라도 합계출산율이 0.8명 미만으로는 떨어지지 않고 0.8명 중반대에서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 순 이동을 중간 수준으로 가정한 중위 추계 시나리오도 그리 밝지 않다. 중위 추계 상 인구 정점은 2028년(5천194만명)이며 2067년에는 3천929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가장 낙관적으로 전망한 고위 추계에 따르면 인구 정점은 2036년(5천375만명)에 도달하며 2067년에는 인구가 4천547만명 수준일 것으로 봤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