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 가능성 큰 기업에 지원 집중하고,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직장 만들어줘야”
대구시가 악화되는 고용지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성장산업 등 고용효과가 큰 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2019 고용목표 달성을 위한 대책회의' 현장에서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고용관련 기관 및 노동계 대표 등 18명이 참석한 이날 회의는 최근 63.4%까지 떨어진 대구 고용률 등 각종 지표 탓에 분위기가 가라앉아 있었다. 회의 참석자들은 일자리 대책이 효과를 거두려면 고용창출 가능성이 큰 기업을 집중 지원하고, 기존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업 대구테크노파크원장은 "대구테크노파크에서 타깃으로 관리하는 198개 기업은 숫자상 대구시 전체 기업의 0.1%이지만 일자리 순증가에 11.8%나 기여했다. 이런 '가젤 기업'(일자리 다산형 기업)을 지원해야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이재경 대구상공회의소 부회장은 LCD 백라이트를 제조하다 2차전지 중간재로 업종을 바꿔 최근 200명가량 인력 채용 계획을 밝힌 기업의 예를 들며 "업황이 부진한 업종에서 나오는 인력을 신성장산업에서 흡수할 수 있어야 하고, 경영 상황이 나쁘지 않음에도 해외로 나가려는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붙잡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일자리의 질적 개선도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박상우 대구청년센터장은 청년들은 기업문화, 조직문화, 퇴근 후 여가시간 활용 등에 굉장히 민감하다. 중소기업은 자체적으로 복지 측면에서 충당하기 힘든 만큼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대학 편제 측면에서도 10~20년 전과 변화가 없는데 푸드, 케어, 에너지산업 등 앞으로 일자리를 많이 만들 분야를 중심으로 인력공급 시스템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