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의총에서 뿔난 유승민, 결별 수순 밟나?

입력 2019-03-20 17:47:19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이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 추진 관련 긴급 의원총회에 참석한 후 의총장을 나오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이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 추진 관련 긴급 의원총회에 참석한 후 의총장을 나오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추진 문제를 둘러싸고 내분에 휩싸이면서 분당 사태까지 거론되고 있다. 때맞춰 자유한국당 일각에서는 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대표(대구 동을)의 합류 가능성을 재시사하고 나서 주목된다.

바른미래당은 20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패스트트랙 추진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처리 문제를 논의했으나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과 지도부가 정면으로 충돌했다.

이날 의원총회도 손학규 대표‧김관영 원내대표 등 지도부가 당내 다수인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과 패스트트랙 강행 의사를 밝히자 유승민 전 대표 등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이 반발하며 긴급하게 소집된 것이어서 논란은 예견된 바 있다.

오전 9시에 시작된 의총은 격론이 이어져 점심도 거른 채 4시간 40분가량 진행됐다.

우선 바른정당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정당득표에 일치하는 의석배분 선거제도) 또는 선거제 패스트트랙 추진에 반대하는 발언이 쏟아졌다.

반대파는 또 "패스트트랙과 관련해 당론 의결이 의무는 아니다"라고 한 김관영 원내대표를 비판하며 선거제를 패스트트랙에 올리려면 당론 의결을 거치라고 요구했다.

유승민 전 대표는 의총 후 기자들에게 "선거법은 과거에 다수당 횡포가 심할 때도 숫자의 횡포로 결집해 처리한 적이 없다"며 "21대 국회에서 또 다수 세력이 나타나 자기 당에 유리하게 선거법을 개정하는 길을 처음 터주는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반대 근거를 설명했다. "아무리 좋은 선거법이라도 패스트트랙을 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도 지적했다.

이에 맞서 국민의당 출신 의원들은 "패스트트랙으로 선거법을 속히 통과시키자"(이찬열 의원), "선거법과 2개 법안 연계도 가능하다"(주승용 의원), "계속 협상하고 최종안이 나오면 총의를 모아 추진하자"(임재훈 의원)는 등 김 원내대표와 지도부를 옹호했다.

양측의 주장이 상이함에 따라 갈등 봉합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는 분석마저 나와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특히 그동안 당 회의에 참석하지 않던 유승민 전 대표가 당 지도부에 반기를 들고나와 탈당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이와 관련해 윤재옥 자유한국당 의원(대구 달서을)은 이날 "유 의원은 언제든지 자유한국당에 돌아올 수 있는 인물"이라며 "전혀 정치색이 다른 3당 합당도 이뤄낸 우리 정치인데 유 의원이 친정으로 회귀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