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관 봉착한 선거법 패스트트랙…바른미래, 평화당 내홍

입력 2019-03-18 18:14:33

바른미래, 국민의당 출신은 찬성…바른정당 출신은 반대
민주평화, 의총 추인 실패 19일 재논의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왼쪽)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왼쪽)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여야 4당이 선거제 개편 합의안을 마련한지 하루 만에 난관에 봉착했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이 개혁입법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문제 뿐만 아니라 선거제 합의안을 패스트트랙으로 진행하는 것을 두고 당내 갈등이 심화하고 있어서다.

바른미래당은 선거제 패스트트랙을 둘러싼 당내 입장이 국민의당 출신은 찬성, 바른정당 출신은 반대로 갈리고 있다.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회의에서 바른정당 출신 이준석 최고위원은 지도부의 선거제 패스트트랙에 "애초 선거법 개정과 패스트트랙 지정 같은 중요 사안은 당헌·당규에 따라 3분의 2 이상 원내 의원 동의를 받아 당론으로 지정해야 하나, 지난 의총에서 3분의 2 이상 동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공개적으로 제동을 걸었다.

바른정당 출신 원외위원장 10명도 이날 성명을 내고 "지금의 패스트트랙 논의 진행은 의회민주주의를 파괴하고 민주당 권력기관 장악의 들러리 역할을 하지 않을까 심히 우려스럽다"며 "원내 제2당을 배제하고 선거법을 변경하는 것은 이후 새로운 독재의 길을 열어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평화당도 이날 의원총회를 열고 전날 여야 4당이 합의한 선거제 개혁안 추인을 시도했지만 의결정족수 미달로 19일 다시 의총을 열어 논의키로 했다.

장병완 원내대표는 의총 후 "지역구가 225석으로 줄어 농촌 지역구가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문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여러 의견이 나왔다"며 "내일 의총에서 패스트트랙에 태우는 것에 대해선 충분히 통일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호남 지역구 의석 축소를 불러올 수 있다며 반대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유성엽 최고의원은 앞서 열린 최고위에서 "의원정수를 늘려 제대로 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지, 민주당이 제시한 의원정수 300명의 부분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끌려들어 가는 합의는 안 하느니만 못하다"고 비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