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신도시 공공시설물 공사현장서 근로자 3명 추락해 숨져

입력 2019-03-18 17:55:27

안전관리 소홀 탓에 사고 발생했다는 주장도 나와
국토부, 안전문제 조사 예정

경북도청 신도시 내 경북 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건설현장에서 5층 거푸집 바닥이 붕괴되면서 근로자 3명이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현장의 뚫린 거푸집 모습. 윤영민 기자
경북도청 신도시 내 경북 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건설현장에서 5층 거푸집 바닥이 붕괴되면서 근로자 3명이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현장의 뚫린 거푸집 모습. 윤영민 기자

경북도청 신도시 내 '경북 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에서 근로자 3명이 20m 아래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추락 사고가 발생한 곳은 경북도가 발주하고 대기업이 시공 중인 공공시설물 건설현장이다. 안전장치가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인재(人災)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18일 경북도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1분쯤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장 5층에서 A(50) 씨 등 근로자 3명이 철물 거푸집(데크 플레이트) 상부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 거푸집 바닥이 붕괴하면서 아래로 떨어졌다. 이들은 출동한 119구급대원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모두 숨졌다.

사고를 당한 A씨와 B(50)·C(38) 씨는 모두 하도급업체 직원으로, 이날 공사현장에 처음 출근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곳 근로자들에 따르면 당시 현장엔 5명이 있었는데 이 중 4명이 추락했고, 1명은 철근에 걸려 매달려 있다가 함께 있던 근로자에게 구조됐다.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 전경. 윤영민 기자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현장 전경. 윤영민 기자

이번 사고를 두고 현장 근로자들 사이에선 공사현장의 안전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공사 시공업체는 최근까지 설치돼 있던 안전망을 공사현장 작업 차량의 진출입 문제 등을 이유로 철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현장에 같이 있었던 한 근로자는 "당시 무너질 전조도 없이 갑자기 내려앉을 정도로 하부가 약했다"고 진술했다. 다른 근로자는 "골조 위에는 철근 빔으로 지지대를 해놨는데 밑에는 나무로만 지지를 해놓은 것 같다"며 "현장이 이런 줄 알았으면 아무도 안 올라 갔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도급업체 측은 "무너진 골조가 제대로 용접이 안 돼 있었던 것 같다. 보통 골조를 하고 철근으로 용접을 해야 하는데 사고 현장의 경우 플레이트를 나무판(얇은판)에 올려놔 하중을 못견딘 것으로 보인다"며 고 했다.

이와 관련해 시공업체는 '지금까지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이 무너지는 일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외부공사도 끝나서 안전망을 철거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근로자들이 안전고리를 걸지 않고 작업을 했다는 진술도 나오고 있다. 몇몇 근로자는 "윗칸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안전고리를 걸었는데, 아랫칸 작업 때에는 무너질 전조도 없고 튼튼해보여서 안 한 것 같다"고 전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사고 지점이 건물 복도 부분인데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하중을 견디지 못해 무너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며 "사고가 볼트 결합이나 용접의 부실로 발생했는지 등 과실 여부에 대해서는 국토부와 고용노동청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대구고용노동청은 공사현장에 대해 전면 작업중지 조치를 내리는 한편 현장에 지역산업재해본부를 설치해 안전보건공단, 경찰, 소방당국 등과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일단 이날 현장점검에 나선 안전보건공단은 거푸집 아래쪽을 지지하던 목재가 떨어지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경에너지종합타운 조감도. 경북도 제공
환경에너지종합타운 조감도. 경북도 제공

한편, 지난 2016년 12월 공사를 시작한 환경에너지종합타운은 경북 북부지역 12개 시·군에서 배출된 쓰레기를 하루 최대 510t 처리해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로 오는 8월 말 완공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2천98억원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