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737맥스 보유 이스타항공, 긴급 안전점검 실시

입력 2019-03-11 11:31:22 수정 2019-03-12 09:24:31

26일 오전 김포국제공항에서 진행된 이스타항공 B737 MAX8 기종 도입식에서 임직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오전 김포국제공항에서 진행된 이스타항공 B737 MAX8 기종 도입식에서 임직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외에서 미국 보잉의 차세대 주력기 B737-맥스가 잇따라 추락하자 국토교통부가 해당 기종을 보유한 이스타항공에 감독관을 보내 긴급 안전점검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국토부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 기종이 B737-맥스로 확인돼 이스타항공에 감독관을 보내 정비 상황과 운항 실태 등을 점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종은 보잉의 베스트셀러 기종인 737의 4세대 모델로 2015년 11월 초도기가 생산됐으며, 2017년 5월 민간 항공사에 처음 인도됐다.

26일 오전 김포국제공항에서 진행된 이스타항공 B737 MAX8 기종 도입식에서 승무원들이 축포를 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오전 김포국제공항에서 진행된 이스타항공 B737 MAX8 기종 도입식에서 승무원들이 축포를 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0월 29일 추락해 탑승자 189명이 모두 숨진 인도네시아 라이언에어의 여객기 역시 같은 기종이었다. 사고 과정에도 유사성이 있다. 라이언에어 사고 때는 이륙 13분 만에, 에티오피아항공의 경우 이륙 6분 만에 여객기가 추락했다. 두 항공기 모두 이륙 직후 급상승과 급강하를 반복하며 고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조종사가 착륙을 시도한 공통점이 있다.

이번 추락사고의 정확한 사고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항공기 안전 운항과 승객 불안을 고려해 국토부가 긴급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B737-맥스는 국내에는 2대가 운용 중이다. 이스타항공이 작년 12월 말부터 올해 초까지 차례로 2대를 들여와 현재 일본·태국 등 노선에 투입하고 있다.

올해도 대한항공과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등이 B737-맥스 기종을 추가로 들여온다. 에어버스 A320 기종에 대응하기 위해 제작된 보잉 737기종은 지금까지 1만대 이상이 생산된 항공업계의 베스트셀링 기종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