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인당 연간 쓰레기 소비량 132kg…세계 최대 수준"
의성군에 방치된 거대한 '쓰레기 산' 문제가 미국 CNN방송을 통해 3일 집중 보도됐다.
현재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한 폐기물 처리장에는 무려 17만3천여t의 거대한 폐기물 더미가 산처럼 쌓여있다. 폐기물 재활용업체인 ㈜한국환경산업개발이 들여왔는데, 이를 처리하지 않은 채 방치하면서 거대한 쓰레기 산으로 변한 것이다.
해당 업체는 지난 2008년 이곳 처리장에서 2천t 규모의 폐기물 처리 허가를 받았지만 현재 방치된 채 쌓여있는 폐기물은 허가량의 80배가 넘는 수준이다.
CNN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스모그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쓰레기 소각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졌다. 쓰레기는 ▶재활용 ▶연료로 재처리 ▶소각 등 3가지 방법으로 처리되는데, 스모그 문제 탓에 쓰레기의 연료화 및 소각이 제한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2011년 611곳이었던 쓰레기 소각 시설은 지난해 395곳으로 줄었으며, 연료화에 쓰이는 고형폐기물(SRF) 수요도 붕괴했다. 게다가 2017년 말 중국이 환경 오염 등을 이유로 각국에서 들여오던 쓰레기 수입을 중단했다.
통상 선진국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중국 등 아시아 국가로 수출돼 재활용됐으나 중국이 수입을 중단하면서 전 세계에 '쓰레기 대란'이 시작됐다. 때문에 중국에 대한 한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수출량도 90%나 줄었다고 CNN은 보도했다.
CNN은 2015년 한국의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이 132kg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라며, 단순히 슈퍼마켓에서 비닐봉지를 규제하는 수준을 넘어 플라스틱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환경 단체의 지적도 소개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