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 공동 기자회견 성사되나… 공동 아닌 트럼프 단독 회견 관측도

입력 2019-02-27 18:08:34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이 26일(현지시간) 중국과 접경지역인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같은 날 오후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두 정상은 27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이 26일(현지시간) 중국과 접경지역인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해 손을 흔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같은 날 오후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두 정상은 27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회담 후 단독으로 기자회견을 가졌던 지난해 싱가포르 1차 회담 때와 달리 이번에는 북미 정상이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갖는 '파격'이 연출될 수 있을지도 '2차 북미정상회담'의 관전 포인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28일에는 두 정상이 단독·확대 정상회담을 갖고 합의사항을 담은 '하노이 선언'을 채택한 뒤 오찬과 공동기자회견 등의 일정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날 두 정상이 공동 기자회견을 할 만큼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판문점과 평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두 차례 함께 기자회견을 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하노이에서도 기대 이상의 합의가 이뤄질 경우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도 나란히 지구촌 미디어 앞에 설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번 회담에서도 두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으로 '업그레이드'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두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 여부는 이날 정상회담에서의 분위기와 성과에 달려있는 상황이지만, 이와 별개로 지난해와 같이 트럼프 대통령 단독으로 기자회견이 진행될 것이라는 시각도 지배적이다.

이와 맞물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 뒤 베트남을 떠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라고 러시아 타스 통신은 자체 소식통을 인용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통신은 정상회담 준비를 책임지는 현지 소식통을 인용한 하노이발 기사에서 이같이 전하면서 기자회견은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릴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현재 호텔에서 관련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통신은 기자회견과 관련한 더 이상의 상세한 내용은 전하지 않았으나, 타스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북미 정상회담 뒤에도 1차 정상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모두 참여하는 공동 기자회견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의 단독 기자회견이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