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모니터링을 이유로 낙동강 주변에 수백개의 관정을 뚫고 보 개방을 강행한 것을 두고 '장기적으로 보 철거를 위한 예정된 수순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청와대가 4대강 보 해체에 대한 정치권 공방에 대해 "어느 날 평지에서 돌출한 사안이 아니다"고 하고, 금강과 영산강 일부 보 해체 제안에 대해 "(4대강 조사평가) 위원회가 오랫동안 깊이 있는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이라고 해 보 해체에 정부 방침의 추가 쏠려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낙동강 보 인근 주민들은 "단지 모니터링을 위해 거액을 들여 수 백 개의 관정을 뚫는 것이 이상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2일부터 일부 개방에 들어간 상주보'낙단보 주변 한 농민은 "상주보와 낙단보는 가뭄과 홍수 조절만큼은 최대 효과가 검증되면서 농업용수 공급에 절대적인 역할을 했는데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것이라면 굳이 엄청난 비용이 수반된 수 백 개의 관정을 파지 않아도 가능하지 않느냐"며 의문을 제기했다.
보를 개방하면 매호취수장 취수방식 변경비용이 745억원, 양수장 추가설치 비용도 386억원이 들어가는 등 엄청난 비용이 필요하다는 게 상주시의 설명이다.
상주지역은 지난해 3월 상주보 개방 당시 사벌면 매호취수장의 취수량 부족으로 수돗물 공급에 차질을 빚었고 비닐하우스용 관정에서 흙탕물이 나오는 피해를 봤다.
일부 농민은 "이 같은 피해와 엄청난 복구 비용이 예상됐음에도 보 개방을 강행하는 것은 보 철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환경부가 수 백 개의 관정을 뚫는 것이 오히려 환경을 망칠 수 있는 '졸속 지하수 개발'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표수가 있는 지하 40m까지만 파고 있어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00m 정도 암반을 뚫어야 지표수에 관계 없이 물이 나올 수 있다는 것.
이에 농민들은 '현재의 지하수 개발 방식에 문제가 있다'며 환경부에 이의를 제기한 상태다.
김영근 상주보개방반대대책위원장은 "보 개방으로 기존에 있던 관정이 말라 옆에 관정을 파니 황토물이 나오는 등 엉망"이라며 "농지는 높아지고 강물은 낮아진 상태에서 관정을 파니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