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연속 개선에도 가장 높아…일·가정 양립 어려워 '경단녀' 많아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17년 35.3%였다. 한국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17년 통계가 있는 8개국 중 가장 높았다. 2위인 미국(29.07%)보다도 6.23%포인트 높았다.
2016년 기준으로 봐도 한국은 37.2%로 23개국 중 1위다. 2위 이스라엘(30.42%)과도 7%포인트 가까이 차이 났다. OECD 평균은 20.01%로 한국보다 17.19%포인트 낮다.
최하위권인 핀란드(9.63%), 이탈리아(9.07%), 벨기에(5.40%)는 한 자릿수에 그쳤다. OECD는 중위임금(전체 노동자의 임금을 한 줄로 나열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임금)의 ⅔를 받지 못하는 경우 저임금으로 본다.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꾸준히 개선되는 추세이긴 하다.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00년 45.77%에서 2011년(38.21%) 40% 밑으로 내려왔고,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연속 하강 곡선을 그리기도 했다. 그러나 애초 여성 저임금 비중 자체가 높았던 터라 OECD 부동의 1위라는 불명예를 벗지 못하고 있다.
여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높은 것은 출산, 육아 때문에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령대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면 결혼, 출산 등이 많은 30대 중후반에서 뚝 떨어지다가 다시 상승하는 'M'자 형태가 나타난다.
한편 한국 남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2017년 14.3%로 OECD 8개국 중 5번째로 높았다. 2016년엔 15.3%로 24개국 중 9위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