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떠난 김정은…'북미중재' 문대통령, 기대 속 주시

입력 2019-02-24 18:25:56

남북경협 카드 등으로 '빅딜' 성사 견인 주력…"한미 다양한 채널로 소통"
문대통령 28일 공식 일정 비워…트럼프와 곧바로 통화할 듯
평화체제 동력 살릴 '포스트 북미' 구상도…김정은 답방 시기 등 관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전용열차가 23일 평양을 출발하면서 북미 간 2차 핵담판을 위한 '하노이 시계' 역시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중재역'이자 '촉진자'를 자임해 온 문재인 대통령은 휴일인 24일 별도의 일정을 잡지 않고서 김 위원장의 베트남행을 주시했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제재완화를 포함한 상응조치 카드가 맞아떨어져 '빅딜'이 이뤄질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품고 북미 간 이견을 좁히는 데 집중해 왔다.

문 대통령과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북미정상회담 직전까지 물밑에서 북미 간 중재 역할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볼턴 보좌관의 방한은 무산됐지만, 여전히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미국 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22일 하노이에 도착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 한국 측 당국자들 역시 북미정상회담 성공을 위해 현지에서 비공개 실무협상을 이어갈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북미의 움직임을 주시하는 동시에 '포스트 북미정상회담' 구상에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문제의 '운전자'로서,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동력으로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28일 공식 일정을 비워둔 것 역시 북미 핵 담판 결과를 최대한 신속·정확하게 파악하고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종료 직후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할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은 이후로는 북미정상회담에서 이뤄진 합의사항이 원활하게 실천되도록 협력하는 동시에 남북관계 개선에도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를 세심하게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시간상으로는 한미정상이 먼저 만나 이번 북미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 충분히 소통한 뒤, 이를 토대로 문 대통령이 서울에서 김 위원장과 만나 구체적인 남북 협력사업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는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연동될 가능성이 크다. 북미 사이에서 제재완화 등이 어떻게 합의되느냐에 따라 남북 협력사업의 폭도 달라질 수 있어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어떤 합의를 이루느냐가 현재로서는 가장 중요하다"라며 "지금은 한미정상의 만남 시기나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