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 카드 등으로 '빅딜' 성사 견인 주력…"한미 다양한 채널로 소통"
문대통령 28일 공식 일정 비워…트럼프와 곧바로 통화할 듯
평화체제 동력 살릴 '포스트 북미' 구상도…김정은 답방 시기 등 관심
제2차 북미정상회담(27∼28일·베트남 하노이)이 24일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 세계의 이목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보에 쏠리고 있다.
23일 오후 5시쯤 김 위원장이 열차편으로 평양을 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실상 정상회담 일정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평양에서 하노이까지 4천500km를 달려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은 60여시간에 걸쳐 중국을 관통한 뒤 26일 중국 접경지역인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도착해 승용차로 하노이에 입성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김 위원장과 비슷한 시점인 26일 트럼프 대통령도 베트남 하노이에 발을 디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베트남행 돌입 시점은 워싱턴 현지 시간으로 25일이 되리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25일 하노이로 출발할 것이라고 22일 보도했다. 26일 베트남에 도착하려면 시차와 비행시간을 감안해 25일에는 출발해야 할 것으로 관측된다.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26일 하노이에 도착한 북미 양 정상은 하루 앞으로 다가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내부 준비에 주력하는 한편, 베트남 측과의 공식·비공식 일정도 가질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짧지만 깊은 숨고르기에 이어 27∼28일에는 역사적인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정상회담장으로는 메트로폴호텔과 함께 영빈관, 오페라하우스가 꼽힌다.
문재인 대통령은 휴일인 24일 별도의 일정을 잡지 않고 김 위원장의 베트남행을 주시했다. 문 대통령과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북미정상회담 직전까지 물밑에서 북미 간 중재 역할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