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농단 수사 마무리 후 삼성바이오 회계분식 수사 집중
현대차는 차량결함 은폐 의혹…SK는 유독성 가습기 살균제 제조 혐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 수사가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검찰이 3월 초부터 대기업 수사에 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순위 1∼3위인 삼성·현대차·SK 계열사가 모두 검찰 수사 선상에 오른 상황이다.
24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2월 정기인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사건을 맡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 인력을 12명에서 18명으로 늘렸다.
이와 함께 사법행정권 남용 수사에 주력하던 특수1부 인력은 19명에서 15명으로 줄어 특수2부가 특수부 내 최대 인원으로 확대됐다. 삼성바이오 수사에 집중하기 위한 증원이라는 관측이 많다.
검찰은 지난해 말 삼성바이오에 대한 동시다발적 압수수색을 통해 입수한 자료를 분석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수사의 핵심은 옛 미래전략실 등 삼성그룹 수뇌부가 삼성바이오와 공모해 회계원칙에 어긋나는 것을 알면서도 고의로 분식회계를 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현대·기아차가 엔진 등 차량 제작결함을 은폐했다는 의혹에 대한 수사도 수면 위로 올라왔다.
서울중앙지검 형사5부(형진휘 부장검사)가 지난 20일 서초구 양재동 현대차 본사와 경기도 화성 남양기술연구소 등을 전방위로 압수수색해 자료를 확보했다.
앞서 시민단체 서울YMCA 자동차안전센터는 현대차가 세타2 엔진의 결함 가능성을 알면서도 그대로 차량을 팔아 이득을 취했다며 2017년 4월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등을 고발했다.
국토교통부도 같은 해 5월 세타2 엔진 외의 제작결함 5건과 관련해 의도적 결함 은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는데, 2년 만에 검찰이 본격적 수사에 나선 것이다.
SK케미칼(현 SK디스커버리)은 인체에 유해한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하고, 원료물질을 공급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권순정 부장검사)가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에도 SK케미칼·SK이노베이션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PHMG를 이용해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한 옥시 등은 처벌받았지만 CMIT 원료를 쓴 애경·SK·이마트는 이 물질의 유해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벌을 피해왔다. 이후 CMIT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자 검찰이 수사에 나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