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접었다 펴는 스마트폰 '갤럭시 폴드'를 공개하며 스마트폰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폴더블(Foldable)폰 대전이 시작됐다. 폴더블폰이 시장에 안착하려면 얇은 두께와 내구성에 더해 콘텐츠 생태계 등을 갖추는 게 과제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20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갤럭시 폴드를 공개했다. 중국 화웨이와 샤오미 등 경쟁업체들은 다음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19에서 폴더블폰을 공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폴드는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 방식이다. 폴더블폰 바깥으로 접히는 '아웃폴딩' 방식에 비해 접히는 곡률 반경이 작고, 별도의 커버 디스플레이를 만들어야 해 상대적으로 구현이 어렵다. 갤럭시 폴드는 접었을 때 겉면에 4.6인치 커버 디스플레이가 따로 달리고, 펼쳤을 때는 7.3인치 크기로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접었을 때는 일반 스마트폰처럼 사용하다가 펼치면 큰 화면을 이용해 태블릿처럼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갤럭시 폴드를 접은 채 커버 디스플레이에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다가 화면을 펼치더라도 중단 없이 연속해서 이용할 수 있는 식이다. 큰 화면을 2분할 혹은 3분할로 나눠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쓸 수도 있다.
갤럭시 폴드 발표를 두고 혁신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일각에서는 우려도 나온다. 접었다 펴는 방식의 제품인 만큼 오랜 시간 접었다 폈을 때 제품이 변형되지 않는 내구성에 대한 의문이 있다. 제품 두께와 무게 및 비싼 가격도 걸림돌이다. 갤럭시 폴드는 1천980달러(약 222만원)부터 판매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