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은 '트럼프 직무박탈 모의' 의혹…쿠데타 표현 논란도

입력 2019-02-19 16:52:28

매케이브 전 FBI국장대행 언론인터뷰·회고록 출간으로 의혹 재점화

2017년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수정헌법 25조에 따른 대통령 직무박탈 모의가 있었다는 의혹이 미국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 이런 모의 의혹을 '쿠데타'로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한 갑론을박도 벌어지고 있다.

앤드루 매케이브 전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대행은 17일(현지시간) 저녁과 14일 방송된 CBS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5월 제임스 코미 당시 FBI 국장을 해임했을 때 법무부 당국자들이 매우 놀랐으며 수정헌법 25조 적용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수정헌법 25조는 내각 과반이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부적합하다고 결론을 내리면 대통령이 물러나게 되는데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면 상하원 3분의 2의 찬성표가 확보돼야 직무 박탈이 가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코미 국장 해임으로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 수사를 방해하려는 것 아닌지 들여다보라고 FBI에 지시했다고도 했다.

'쿠데타'라는 표현을 둘러싼 논란도 일고 있다. 폭스뉴스는 매케이브 전 국장대행의 발언을 보도하면서 진행자와 패널의 입을 통해 '쿠데타'라는 표현을 썼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직무박탈 모의 의혹을 무력으로 정권을 전복하는 쿠데타에 빗댄 것이다.

그러자 워싱턴포스트(WP)는 "헌법에 포함된 시스템을 이용해서 대통령을 물러나게 하는 것은 정의(定義)상 쿠데타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