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파이팅에서 완패한 한국당, 새 지도부 들어서면 바뀔까

입력 2019-02-18 18:29:51

김태우 수사관 폭로, 손혜원 의원 부동산투기 의혹, 김경수 경남도지사 법정구속 등 정국주도할 호재 많았지만 5·18 망언 한 방에 나가떨어져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무소속 손혜원 의원이 23일 오후 목포 현장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드루킹' 댓글 조작 공모 혐의를 받는 김경수 경남지사가 30일 오후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선고공판에서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뒤 호송차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이 여당과의 정치 공방에서 제대로 된 공세 한 번 펴지 못하고 되치기까지 당하자 '웰빙 정당'의 한계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당 일부 의원의 '5·18 망언' 여파로 한국당 지지율의 하락세가 이어졌고,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40% 선을 회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1∼15일 전국 유권자 2천5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0%포인트)한 결과, 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주보다 1.4%포인트 오른 40.3%로 집계됐다. 한국당의 지지율은 3.7%포인트 떨어진 25.2%였다.

김태우 수사관 청와대 민간사찰 폭로, 손혜원 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 서영교 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재판거래 파동, 문재인 대통령 선거 캠프 출신 인사 중앙선거관리위원 임명 강행, 드루킹과 댓글 조작 공범으로 법정구속 된 김경수 경남도지사 재판 등 정부·여당의 핵심을 타격하고 여론을 완전히 등에 업을 기회가 즐비했음에도 한국당이 이를 전혀 살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국당 내부에서조차 "정부·여당을 누르고 정국주도권을 완전히 확보할 수 있는 이만한 '종합선물세트'는 내년 총선 전까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며 "총선 결과를 받아들고 나면 지난 한 달 동안 제대로 하지 못 한 후회를 더욱 뼈저리게 할 것"이라는 자조가 나온다.

나아가 여당을 압도할 수 있는 여건이었음에도 5·18 망언 파동 한 방에 나가떨어지며 정국주도권을 여당에 완전히 내준 상황에 대한 혹평도 쏟아지는 중이다.

25일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국회 본관에서 조해주 선관위원 후보자 임명강행 반대 농성장을 방문,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무소속 손혜원 의원이 23일 오후 목포 현장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평화당 관계자는 "돌이켜보면 민주당이 손혜원 의원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물타기로 송언석 한국당 의원을 언급했을 때 한국당이 과감한 되치기로 승기를 확실하게 잡았어야 했다"며 "어설픈 '릴레이 단식'과 '시대착오적 5·18 망언'으로 한국당이 고립을 자초했다"고 꼬집었다.

한국당 비대위 내부에서도 엉성한 폭로과정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한 비대위원은 "당내에서 개별의원들이 산발적으로 내놓고 있는 폭로내용을 사전 검증하고 강약과 템포를 조절할 브레인기구가 당내에 없다"며 "이대로 가면 어설픈 폭로가 더 큰 부메랑이 돼 돌아오는 과오가 반복될 공산이 크다"우려를 나타냈다.

자유한국당은 13일 중앙윤리위원회를 열어
25일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국회 본관에서 조해주 선관위원 후보자 임명강행 반대 농성장을 방문,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정치권에선 한국당이 웰빙 정당의 면모를 벗어던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더 많다.

바른미래당의 한 초선 의원은 "5·18 망언이 터졌을 때 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며 순차적으로 한국당에 타격이 클 이슈부터 제기하고 최대한 길게 파문의 여운을 끌고 가는 여당과 비교하면 한국당은 그 어떤 전략적인 모습도 보이지 못했다"며 "상명하복 문화에 충실했던 고시와 공무원 출신이 많은 정당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자유한국당은 13일 중앙윤리위원회를 열어 '5·18 망언'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김진태(왼쪽부터), 김순례, 이종명 의원에 대한 징계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한국당은 14일 2차 회의를 열어 이들 의원에 대한 징계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