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가 추가합격 기간 한 수험생에게 개별 전화 통보로 합격을 전했는데, 수험생이 이를 곧바로 끊어 탈락시킨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다.
이에 15일 서울시립대는 학교 측 논의 결과 해당 학생을 합격시키기로 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각 대학 추가합격 통보 제도를 손 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소한 부분이지만, 합격의 당락을 좌우할 수 있는 부분이고, 특히 수험생의 절박한 심정을 악용하는 부분도 적잖다는 의견이 나온다.
대부분 대학은 추가합격 통보를 초중반에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하고, 막판에는 개별 전화를 통해 하고 있다.
그런데 개별 전화 통보의 경우 이번 서울시립대 사례처럼 받았다가 어느 한 쪽의 실수로 전화가 끊길 경우 추가 합격 기회를 박탈당할 수 있다는 언급이 수험생들 사이에서 나온다.
이번 사건의 당사자인 추가합격자 A씨의 주장이 화제가 되고 있다. A씨 주장에 따르면 서울시립대는 A씨에게 추가합격 전화 통보 마감시한인 지난 14일 오후 9시 전화를 걸었다가 곧바로 끊었다. 이어 A씨가 1분 뒤인 오후 9시 1분 학교에 전화를 걸었는데, 서울시립대는 마감 시각인 오후 9시를 넘겼기 때문에 등록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이에 서울시립대 관계자는 담당 직원이 오후 8시 59분쯤 A씨에게 전화를 걸었다가 마감 시한인 오후 9시 정각이 되자 통보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바로 끊은 것으로 파악했다고 해명했다. 그런데 오후 9시 정각에 전화를 끊어야 하는 규정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학교 측 과실이었고, 다행히 A씨는 등록을 할 수 있었지만, 만약 그러지 못 했을 경우 억울할 수 있는 부분인 것.
이와 관련 수험생들은 "개별 전화 통보 이후 수험생과 그 가족 등이 등록 여부를 생각할 시간을 줘야한다" "수험생이 밤 늦게까지 전화기를 붙들고 있어야 하는 건 비인간적이다. 대학이 수험생의 절박한 심정을 이용하는 것 같다. 낮 시간대에 통보를 하고, 전화가 끊기는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문자 메시지 등으로 재차 알려야 한다" "이번 사건의 경우 학교가 잘못했지만, 수험생이 전화를 못 받는 경우가 얼마든지 생길 수 있다. 전화 외의 다른 안정적인 통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등의 의견을 내놓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