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해연 입지, 정치적 결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

입력 2019-02-13 06:30:00

원전해체연구소 입지가 경주가 아닌 부산·울산이 유력하다는 소식이다. 부산·울산 경계 지역에 설립하기로 가닥이 잡혔다는 것이다. 사실이라면 문재인 정부의 '대구경북 패싱' 목록에 원해연이 추가되게 됐다.

원해연 입지가 부산·울산으로 정해진다면 받아들이기 어렵다. 부산·울산보다 경주가 가진 장점이 월등하기 때문이다. 경주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비롯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리장 등 원전 관련 기관·시설이 모여 있어 원해연 입지로 최적 조건을 갖췄다. 전국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경북에 있고 경주 월성원전 1호기가 해체를 앞둔 것도 그렇다. 원해연이 경주로 와야 원전 설계에서부터 건설·운영→제염·해체→저장폐기까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객관적 잣대로 보면 원해연은 경주로 오는 게 마땅한데도 부산·울산이 유력하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경북 동해안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이를 외면하고 부산·울산으로 원해연 입지를 정해서는 안 될 일이다. 경주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 울진 신한울원전 3·4호기 공사 중단, 영덕 천지원전 1·2호기 건설 백지화 등 경북은 탈원전 직격탄을 맞았다. 9조5천억원에 이르는 경제적 피해에 고용 감소 피해가 연인원 1천272만 명에 달한다.

처음부터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정부는 원해연 입지로 '동남권'을 자주 입에 올렸다. 원해연이 부산·울산으로 갈 것이라는 얘기가 정부·정치권 안팎에서 흘러나왔고 우려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 텃밭인 부산·울산 민심을 잡으려는 정치적 계산이 원해연 입지 결정에 영향을 줄 것이란 의심은 자연스럽다. 경북은 원전으로 수십 년간 피해를 본 데 이어 탈원전으로 또 한 번 피해를 보고 있다. 탈원전 피해 돌파구로 원해연 유치에 힘을 쏟았는데 정치적 이유로 다른 지역으로 가게 되면 대구경북 앞날이 캄캄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