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광주형 일자리, 구미·대구 등 상반기 최소 2곳 더 도입하기로"

입력 2019-02-08 13:42:33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8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역상생형(광주형)일자리 의미와 향후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8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역상생형(광주형)일자리 의미와 향후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광주형 일자리'와 비슷한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올해 상반기 중 최소 2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더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8일 밝혔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은 이날 오전 춘추관 브리핑에서 "정부도 광주형 일자리를 전국에 확산되도록 준비하고 있다"면서 "상반기에는 잘하면 최소한도 두 군데는 급물살을 탈 수도 있겠다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를 법적으로 지원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2월 정책을 발표할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가 추진되는 다른 지역에 대한 질문에 대해 정 수석은 "제가 직접 만난 지역은 두 군데"라며 "구미, 대구 같은 지역에서 아주 구체적으로 계획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현대차를 제외한 주요 대기업이 상생형 지역 일자리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나'라는 질문에는 "기업 입장에서는 해외에 나가있는 공장도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이 될 것이라고 말해주는 분도 있지만, 어떤 것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아직 없다"면서 "깊은 관심을 갖고 어떻게 하면 자기들이 할 수 있는지 의견을 물어보는 정도"라고 답했다.

정 수석은 광주형 일자리의 의미에 대해서는 "우리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되고 어려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부활시키는 중요한 해법"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