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정착을 지원하는 경북하나센터의 PC가 해킹 당해 1천명에 가까운 탈북민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통일부는 28일 "지난달 경북하나센터 PC 1대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탈북민 997명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해당 PC는 경북하나센터 직원이 외부에서 하나센터 기관 메일주소로 온 해킹 메일을 열람하면서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센터는 법령에 따라 탈북민들의 개인정보가 담긴 문서에는 암호를 설정하고, 인터넷과 분리된 PC에 개인정보를 저장해야 한다. 그러나 이 직원은 이런 지침을 위반한 것으로 통일부는 보고 있다.
통일부는 해당 직원에 대한 조치와 관련해 "개인정보보호법상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으면 그에 맞는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하나센터는 구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경산시를 제외한 경북도 내 22개 시·군의 탈북민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한 민간기관이 2010년부터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통일부는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해 모든 직원이 업무망 PC와 인터넷망 PC를 분리해 사용하는 '망 분리'를 전 지역 하나센터에서 시행하기로 하고 올해 시스템 구축 작업을 진행했지만, 실제 운용은 내년부터 할 예정이었다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사건이 발생한 뒤 전국 25개 모든 하나센터의 해킹 여부 및 개인정보 관리를 긴급 점검하고, 27일에는 천해성 차관 주재로 대책회의를 열어 피해 구제 및 재발 방지 대책을 검토했다.
또 27일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된 탈북민들에게 이런 사실을 개별 통지하고 있으며 현지에서 '피해접수처'를 운영 중이다.
통일부는 "법 제도적 보완 등 탈북민 개인정보 보호 강화와 피해 방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