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조 자영업 대출, 400만 다중채무자 가계부채 '뇌관'

입력 2018-12-02 17:51:41 수정 2018-12-02 23:47:45

"대출 한쪽서 부실화되면 도미노처럼 빠르게 전염"

가계빚 문제가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 규제가 덜한 기타대출에서 급증하는
가계빚 문제가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 규제가 덜한 기타대출에서 급증하는 '풍선효과'를 낳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9일 '전금융권 가계부채 관리 점검회의'를 열어 이 같은 리스크 요인을 살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을 단행함에 따라 자영업자 대출과 3개 이상 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들이 가계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에서는 고신용자 위주로 구성된 대출자 구성과 금융회사의 여신 건전성 등을 감안할 때 이번 금리 인상이 당장 위기로 번질 가능성은 낮게 보는 분위기다.

다만 하위계층을 중심으로 소득이 감소하는 가운데 고용시장도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이자 부담만 커질 경우 취약계층부터 서서히 연체의 늪에 빠져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일 기준으로 정부와 한은, 민간연구소들이 한국은행 금리 인상 이후 가장 취약한 고리 중 하나로 주목하는 부분이 자영업 대출이다.

자영업 대출은 규모 자체가 제대로 집계되지 않는다. 한국은행이 2분기말 기준 자영업대출이 590조7천억원이라고 집계했지만 자영업대출은 가계대출에 섞여 있는 경우가 많아 이 역시 정확한 규모로 보기 어렵다.

증가세가 급격히 확대된 점도 우려하는 부분이다. 가계대출 증가율이 올해 7% 수준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자영업대출은 2분기 기준으로 1년 전 대비 15.6% 증가했다. 증가율이 두 배를 넘는 것이다.

411만명에 달하는 다중채무자 역시 취약한 고리로 꼽힌다.

다중채무자는 기본적으로 대출 규모가 크고 대출 돌려막기를 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말 기준으로 이들이 금융사에서 받아온 대출이 493조원에 달한다.

금감원은 다중채무자의 '부도 전염 효과'를 우려한다.

여러 금융권역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대출자의 경우 한 권역에서 대출이 부실해지면 다른 권역에서도 빠르게 부실화되면서 일종의 도미노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연체율은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으나 점차 오름세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은행보다 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2금융권을 중심으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국내은행의 9월말 기준 원화대출 연체율은 0.54%로 1년 전 같은 기간의 0.43%보다 0.11%포인트(P) 상승했다. 다행히 가계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25%에서 0.26%로 0.01%P 오르는 데 그쳤다.

신협과 농협 등 상호금융권의 9월말 연체율은 1.56%로 1년 전 1.34%보다 0.22%P 올랐다. 연체율 상승 폭으로 보면 은행의 두배인 셈이다.

서민금융업권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올해 7월 말 기준 대부업 상위 20개사의 연체율은 6.3%로 작년 말 대비 0.9%P올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