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이 어수선하다.
최근 도청 간부공무원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가 하면 일부 부서는 직원 간 폭행, 성희롱으로 경찰 조사까지 받는 등 내부 악재가 연이어 터지고 있기 때문이다.
7일 발표한 인사혁신안을 두고서도 '공무원판 카스트제도'라는 반발이 확산되고 있어 내부 갈등의 뇌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급기야 '하인리히 법칙'까지 노조 게시판에 등장, 어수선한 분위기를 가중시키고 있다. 하인리히 법칙은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와 관련한 수많은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법칙이다.
지난달 경북도 복지건강국 간부공무원이 자택에서 스스로 생을 등졌다. 도청 내부에선 도청을 옮긴 이래 가장 큰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죽음을 둘러싸고 '누군가의 갑질이 있었다', '너무 과중한 업무에 시달렸다'는 등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 떠돌았고 직원들끼리도 반목하는 일이 생겨났다.
경북도 한 공무원은 "능력있는 공무원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도 잠시, 남은 사람들끼리 서로 음해하는 모습이 더욱 애석하다"고 전했다.
일부 직원들은 폭언과 욕설 피해를 호소하다 경찰 수사까지 받고 있다. 최근 경북도 노조 게시판에는 "우리 부서는 최근 몇 달 동안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고 벌써 경찰차가 두 번이나 왔다 갔다"며 "신규 직원과 여직원의 폭언, 욕설 피해 토로가 이어지고 있다"는 글쓴이를 알 수 없는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에는 철저한 조사와 대응을 촉구하는 댓글 수십여개가 달렸다. 게시판에 언급된 해당 직원은 지난달 여직원에게 욕설을 하는가 하면 또 다른 직원을 폭행했고, 이 때문에 경찰이 출동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 감사관실은 "현재 여성정책관실에서 성희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절차를 밟고 있다. 직원 간 폭행 사건은 경찰이 수사를 하고 있다"며 "여성정책관실과 경찰로부터 결과를 통보받으면 인사 부서 등과 협의, 기준에 따라 처분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런 어수선한 상황에서 민선 7기를 맞아 마련한 인사혁신안도 직원 간 갈등의 뇌관이 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인사혁신안에 핵심시책 업무를 맡은 직원과 기피·격무부서 근무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겠다는 내용이 담기자 해당되지 않는 업무 담당자와 부서 근무자가 상대적으로 차별받는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
한 공무원은 "핵심시책 업무 담당자와 기피·격무부서 근무자, 그 외 직원으로 신분이 나눠진 '카스트 제도'가 생긴 것이나 다름 없다"고 불평했다.
도청이 옮겨오면서 하루아침에 기러기 신세가 된 상당수 공무원의 정신 건강을 위한 직원 고충 상담 시스템, 스트레스 관리 방안 등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요구도 커지고 있다.
실제 도가 지난 6월 직원 53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직원 62%가 중등도 이상의 스트레스, 33%가 우울감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