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지방, 아파트 분양 양극화 더 심해졌다

입력 2018-11-07 07:28:59

3분기 초기 분양률 전분기 대비 수도권 오르고 지방 하락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처음으로 강남 3구 아파트 값이 하락세를 기록했다. 2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2일 조사 기준으로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이번 주 나란히 0.02%씩 내렸다. 서초구는 6월 셋째 주 이후 18주 만에, 강남구는 7월 셋째 주 이후 14주 만에 첫 하락이다. 송파구는 7월 둘째 주 이후 15주 만에 0.04% 하락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구와 서초구(오른쪽)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처음으로 강남 3구 아파트 값이 하락세를 기록했다. 25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22일 조사 기준으로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이번 주 나란히 0.02%씩 내렸다. 서초구는 6월 셋째 주 이후 18주 만에, 강남구는 7월 셋째 주 이후 14주 만에 첫 하락이다. 송파구는 7월 둘째 주 이후 15주 만에 0.04% 하락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구와 서초구(오른쪽)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의 분양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수도권의 민간아파트 초기 분양률은 95.3%로 전 분기의 88.5%보다 6.8%포인트 올랐다.

초기 분양률은 분양개시일 이후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 기간의 평균 분양률을 의미한다. HUG의 주택분양보증이 발급된 후 입주자 모집승인을 받아 분양한 30가구 이상의 전국 민간아파트를 대상으로 한다.

지난 3분기 기타지방(수도권,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를 제외한 지역)의 초기 분양률은 평균 58.6%로 집계됐다. 전 분기의 64.8%보다 6.2%포인트 하락하며 50%대로 주저앉았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 초기 분양률은 87.7%로 비교적 높았지만, 2분기의 98.4%보다는 10.8%포인트 급감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하면 수도권과 지방의 초기분양률은 모두 내리막이었다.

다만 수도권(-1.4%포인트)에 비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6.2%포인트)와 기타지방(-16.1%포인트)의 하락 폭이 더 컸다.

앞으로의 분양 전망도 밝지 않다.

분양 성수기인 가을이 왔지만, 청약제도를 손본 9·13대책의 영향으로 경기 하남 위례신도시, 성남 판교 대장지구 등의 분양이 줄줄이 연기된 상황이다.

지난달 전국 분양경기실사지수(HSSI) 전망치는 65.4로, 전달보다 17.0포인트 하락했고, 전국 예상분양률은 73.6%로, 10개월 연속 70%대에 머물렀다.

분양경기의 침체로 더 큰 타격을 입은 중견·중소 주택업체는 이달 수도권 내 분양계획이 전무하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각종 규제로 분양 여건이 좋지 않은 데다가 지방은 분양하더라도 미달하는 경우가 많아 업계로서는 이래저래 난감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