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한유총 30일 사립유치원 대책 두고 각각 토론회 열어

입력 2018-10-29 18:25:52 수정 2018-10-29 23:16:10

대구 200개 유치원 참여

김용임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 비대위원장 전북지회장 겸 대외협력부장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부 및 소관 공공·유관기관 종합감사에서 참고인으로 출석해 의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임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 비대위원장 전북지회장 겸 대외협력부장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부 및 소관 공공·유관기관 종합감사에서 참고인으로 출석해 의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유치원총연합회(이하 한유총)와 교육부가 30일 각각 대책회의를 열기로 하면서 사립유치원을 둘러싼 사태의 분수령이 될 지 주목받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행정안전부 차관, 공정거래위원장 등과 '유치원·어린이집 공공성 강화를 위한 관계장관 간담회'를 연다. 이날 유 부총리는 유치원들이 집단으로 원아모집을 중단하거나 휴원하는 상황에 대비해 관련 부처의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같은 날 한유총도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전국 사립유치원이 참여하는 대토론회를 연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집단휴원 여부를 포함해 정부의 유치원 공공성 강화 대책에 대한 대응책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에서는 총 256개 사립유치원 중 200개 유치원 관계자들이 참여할 전망이다.

한편, 한유총 비상대책위원회는 29일 '국정감사에 임하는 입장'이라는 자료를 통해 "정치권이나 정부의 요구보다 더 높은 도덕성을 기준으로 재탄생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유아교육의 책무성·공공성과 함께 사적 재산권도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학부모에게 차별 없는 교육비 지원 ▷사립유치원 설립자가 투자한 사적 용역에 대해 국민과 학부모가 인정·공감하는 수준의 재산권 보장 ▷학부모 참여권 확대 ▷유아교육 정책연구를 위한 사립유치원발전재단 설립 등을 유아교육 정상화 방안으로 제안했다.

한편, 대구에서는 일부 유치원에서 신입생 설명회를 연기하는 곳이 있지만 현재까지 교육청에 접수된 폐원 및 휴원 신청은 없는 상황이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30일 한유총 토론회에서 대책이 나올 때까지 일부 유치원들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것 같다"며 "휴원 등 연합회 차원의 집단 행동도 아직까지는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