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선행지수 17개월째 하락…韓경기 내년에도 '먹구름'

입력 2018-10-28 16:38:57

외환위기 이후 가장 긴 내림세…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잇달아

앞으로 한국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고 신호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출을 제외한 한국 경제 지표가 고르게 나빠지고 성장률 전망치도 줄줄이 떨어지며 경제위기론마저 부상하는 상황이어서 불황의 긴 터널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28일 OECD에 따르면 올해 8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내린 99.2를 기록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한국은행·통계청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 차, 수출입물가비율,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 등 6개 지수를 활용해 산출한다.

통상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경기 하강으로 해석한다. 특히 상승 흐름인지 하강 흐름인지가 중요하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7개월째 전월 대비로 하락한 데다가 올 4월부터는 100을 밑돌아 경기에 적신호가 켜진 지 오래다.

선행지수는 작년 3월 101.0을 정점으로 꾸준히 하락해 이 기간 1.8포인트나 내렸다.

외환위기 시절과 그 여파가 있었던 1999년 9월∼2001년 4월 20개월 연속 전월 대비로 하락한 이후 가장 긴 내림세다.

다른 경제 지표를 보면 한국경제가 성장세를 멈추고 하강 국면으로 진입했다는 분석에 무게 추가 옮겨가는 모습이다.

고용은 지난 2월 이후 꾸준히 부진한 상황이다. 9월까지 취업자 증가 폭은 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에 그쳤다.

현 경기 상황이 하강에 방점이 찍혀 있는 마당에 6∼9개월 뒤 경기 흐름 예측도 하강 흐름으로 예측된다는 것은 장기 불황의 우려가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