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등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특화발전을 지원하고 주거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5년간 총 4조3천억원이 투입된다.
대구에는 첨단의료 융합산업이 육성되는 점을 감안해 뇌연구 실용화 센터(527억원)가 건립돼 기존의 뇌연구원과 연계해 뇌질환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한다. 경북은 첨단자동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첨단 미래교통안전 클러스터(1천88억원)가 조성된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향후 5년간 10개 혁신도시의 발전방향과 추진전략 등을 담은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이 제9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에서 확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 계획은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처음 수립된 5년 단위 계획으로, 혁신도시를 지역성장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혁신도시 시즌2’ 정책을 구체화한 것이다. 5년간 모두 131개 사업에 4조3천억원이 투입된다. 국비 1조7천억원에 지방비 1조3천억원, 민간자본 등 1조3천억원으로 조달된다.
계획은 혁신도시별 특화발전 지원, 정주여건 개선, 주변 지역과의 상생발전 등 3개 분야로 구성됐다. 예산은 특화발전 지원에 2조9천억원(67%), 정주여건 개선에 1조1천억원(26%), 상생발전에 3천억원(7%)이 배정된다.
정부는 혁신도시에 입주하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특화발전을 지원함으로써 입주기업을 639개사에서 1천개사로 늘리고 고용인원은 1만1천명에서 2만명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혁신도시마다 발전재단이 설립돼 산학연 협력체계의 컨트롤타워 역할도 하게 한다. 이전 기관이 보유한 장비와 기술을 지역기업, 대학 등과 공유하고 공동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창업 및 기업활동을 지원한다.
정부는 혁신도시의 정주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거주 만족도를 높이고 가족동반 이주율을 현 58%에서 75%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문화·커뮤니티 시설과 창업공간 등이 집적된 복합혁신센터가 모든 혁신도시에 건립된다. 유아보육 인프라를 확충하고 맞춤형 돌봄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이전기관과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