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11만명↓…5년만에 첫 감소

입력 2018-10-21 16:39:38

행정·국방 취업자는 2013년 집계 후 최다…공공 일자리로 고용 지탱
정부, 공공기관 단기 고용 등 '청년·신중년·어르신' 맞춤형 일자리 추진

자영업자가 많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가 올해 들어 수년 만에 처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조업 등 주력 산업 취업자가 줄고 고용 상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가운데 행정을 비롯한 공공 일자리는 늘었다.

21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니 올해 1∼9월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취업자 수는 월평균 597만8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만9천명(1.8%) 적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한 이들 산업의 1∼9월 취업자 수는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통계를 작성한 2013년 이후 올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1∼9월 평균 취업자 수는 2013년 563만6천명, 2014년 591만9천명, 2015년 601만4천명, 2016년 603만2천명, 2017년 608만7천명을 기록하는 등 4년 연속 증가하다 올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전통적인 주력 산업이 포함된 제조업의 고용 상황도 좋지 않다.

올해 1∼9월 제조업 취업자 수는 451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만6천명(1.0%) 줄었다. 작년 1∼9월 제조업 취업자가 전년 동기보다 3만7천명 감소한 데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 행진했다.

건설업은 취업자가 늘기는 했으나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해졌다.

올해 1∼9월 건설업 취업자는 201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만3천명(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1∼9월에 건설업 취업자가 전년 동기보다 12만8천명(6.9%) 증가했던 것에 비춰보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셈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행정기관 종사자 등 공공 부문 취업자는 대폭 늘었다.

올해 1∼9월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분야 취업자는 110만6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만3천명(6.0%) 늘었다.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은 중앙 및 지방 행정기관 종사자, 법원·국회 종사자 등을 포괄한다.

이 분야의 1∼9월 취업자 수는 2013년 통계를 작성한 이후 올해가 가장 많았다.

올해 1∼9월 전체 취업자는 2천677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만명 증가했다.

작년에는 1∼9월 취업자가 전년 동기보다 33만3천명 늘었는데 증가 폭이 3분의 1 미만으로 축소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