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놀리는 대구경북 76곳 폐교시설, 빨리 활용 방안 찾아라

입력 2018-10-10 05:00:00

폐교시설 활용률이 매년 조금씩 높아지고는 있으나 방치된 미활용 폐교가 대구경북에도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의 ‘2018 폐교재산 활용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기준 경북 69곳, 대구 7곳 등 모두 76곳의 폐교가 아무런 쓰임 없이 방치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이 같은 상태에 놓인 폐교시설은 모두 420곳에 이른다.

이처럼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그냥 놀리는 폐교시설의 재산 가치는 어림잡아도 수천억원이다. 대지 면적이 100만㎡에 가까운 경북의 폐교 가치는 장부 가격 기준으로 약 357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밀집도나 접근성 등에서 사정이 나은 대구 폐교시설은 약 472억원가량이다. 800억원이 넘는 지역 공공재산이 용도를 찾지 못한 채 잡초만 웃자라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정부는 폐교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2002년부터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시행 중이다. 폐교를 매입하거나 빌려 교육·사회복지시설, 문화체육시설, 소득증대시설 등 건전한 용도로 쓸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하지만 통계가 말해주듯 낮은 활용도로 인해 입법 취지마저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폐교시설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 이에 대비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큰 가치를 지닌 공공재산이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는 건 시간문제다. 적극 매각하든지 아니면 제한 규정을 대폭 완화해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일부 보조금 규정을 악용하는 사례는 막되 공익에 정면으로 배치되지 않는 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게끔 규정을 현실화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물론 불리한 접근성 등으로 인해 폐교 활용이 여의치 않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폐교가 이리 방치된 데는 당국의 무관심도 빼놓을 수 없다. 지금이라도 국내외 모범 사례를 찾고 좋은 아이디어를 모아 폐교시설 활용도를 한층 높여나가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