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 일자리 창출 역량 따라 기업 보증한도 차등

입력 2018-10-04 17:06:20

윤대희 이사장 "혁신창업기업을 유니콘기업으로 육성…기업당 최대 50억 지원"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이 일자리 창출 역량을 평가해 기업의 보증 규모를 차별화하기로 했다.

윤대희 신보 이사장은 4일 오전 서울에서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운영방향을 밝혔다.

신보는 다음 달에 일자리 창출 역량평가를 도입하기로 했다. 기업의 고용 창출·유지 규모와 고용의 질적 수준을 평가해 기업을 4개 등급으로 나뉜 뒤 일자리 역량에 따라 보증 한도를 늘리고, 심사방법과 전결권을 완화할 예정이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유지하는 기업에 보증받을 기회를 더 넓히겠다는 것이다.

신보는 비정규직,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정규직으로 고용한 기업에 고용 인원수에 따라 보증을 우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스타트업 기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스케일업(Scale-Up·도약)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창업 3~7년 내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50억원을 지원한다.

신보는 기존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인 '스타트업 네스트(NEST)'도 강화한다. 지난해 도입된 스타트업 네스트는 유망스타트업 발굴과 액셀러레이팅, 금융지원, 성장지원 등 4단계로 구성된 지원 프로그램이다.

네스트 기업을 올해 160개에서 내년 200개로 확대하고 품질을 높여 스타트업 네스트를 유망스타트업의 필수코스로 정착시키겠다는 것이다.

일자리 창출은 물론 혁신성장, 사회적가치 등 정부의 국정과제를 뒷받침할 신사업과 기존 사업의 혁신방안도 마련한다.

우선 이달 안에 혁신모험펀드와 연계한 보증프로그램을, 올 12월에는 사회적경제기업 맞춤형 신상품을 각각 출시할 예정이다.

윤 이사장은 남북경협 활성화로 개성공단이 가동되면 "개성공단 진출기업에 대한 특례보증 도입을 검토할 것"이라며 "남북협력기금을 보증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정부와 적극 협의하겠다"고도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