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주재 안보리, 대북 대화-제재 지지…중러, 제재언급 자제

입력 2018-09-27 17:14:32 수정 2018-09-27 21:04:16

트럼프 "김정은 평화·번영 원해…한반도 안전 결의 완전준수에 달려"
영·프랑스 등 "역사적 기회 만들어내…北 구체적 행동까지 제재이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를 주재하던 중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리 회의를 주재한 것은 작년 1월 취임 이후 처음이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를 주재하던 중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와 얘기를 나누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리 회의를 주재한 것은 작년 1월 취임 이후 처음이다. 연합뉴스

대량살상무기(WMD) 비확산을 주제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주재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에서는 이란 이슈와 함께 북한·한반도 문제도 주요 이슈로 다뤄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미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에 대한 호평이 이어졌다.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가 있을 때까지 대북제재는 지속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를 이룬 가운데, 평소 제재완화 필요성을 제기해온 중국과 러시아는 대북제재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피했다.

9월 안보리 순회 의장국으로서 회의를 주재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평화와 번영을 원하고 있다"면서 김 위원장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이날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한반도와 역내, 세계의 안전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완전한 준수에 달려 있다"면서 비핵화 진전까지 제재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진정으로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해체하기로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행동을 북한이 보여줄 것을 기대한다"면서 북한이 그런 행동을 보일 때까지 북한과의 대화에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철저한 이행이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검증 가능하고 불가역적인 (북한) 비핵화를 위해 역사적인 기회를 만들어냈다"면서 "지속적인 (대북) 압박 없이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위한 의미 있는 진전을 지속하기 어려우며, 대북제재는 북한의 주변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 의해 엄격히 이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의장국인 네덜란드의 마르크 뤼테 총리는 평화적 해결을 강조하면서도 "네덜란드는 제재위 의장국으로서 대북제재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 모든 것을 다할 것"이라면서 "대북 압박을 계속 유지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대신해 외교장관이 참석한 중국과 러시아는 평소의 제재완화 주장과는 달리 이날 제재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에서 대북제재를 놓고 정면충돌하는 모습을 애써 피한 것으로 관측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