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동 아파트에 땅꺼짐 현상이 발생해 '싱크홀'일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지는 가운데 싱크홀 발생 원인과 대응책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31일 서울 금천구 가산동 아파트 인근 도로에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최근 내린 강한 비에 지반이 약해지면서 지반이 무너진 것으로 추정했다.
주민 150여명은 긴급 대피했으며,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땅꺼짐 현상이 싱크홀일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지는 가운데 싱크홀 발생 원인과 대응책 등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싱크홀과 관련된 궁금증을 일문일답으로 풀어본다.

▷싱크홀이란?
싱크홀(sink hole)은 '땅 속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지반이 가라앉아 생긴 구멍'을 뜻합니다. 땅 속에 빈 공간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았다. 가장 유력한 설은 지하수가 흐르던 자리에 물길이 바뀌면서 땅 속에 빈 공간이 생기고, 지반을 지탱하지 못해 지반이 내려앉는다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싱크홀 발생이 적었다는데?
우선 우리나라 지반의 대부분은 화강암 편마암으로 구성돼있다. 또 지하수 양이 적어 땅 속에 빈 공간이 잘 생기지 않는 덕분에 다른 나라와 비교해 싱크홀 발생이 적은 편이었다. 하지만 최근 무분별한 도시개발이 진행되면서 지반이 약해져 싱크홀 발생빈도가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싱크홀은 2012년 10건, 2013년 15건, 2014년 59건, 2015년 151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많이 발생하고 있는 지진도 싱크홀 발생에 영향을 주나?
지진 관련 전문가들은 잦은 지진이 싱크홀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싱크홀 대부분은 지반에서 조금씩 침하가 발생하다가 갑자기 한꺼번에 무너지는 과정을 거치는데, 땅 속에 빈 공간이 생긴 상태에서 지진으로 지반 전체가 흔들리면 침하가 빨라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싱크홀 발생을 줄이기 위한 대책은?
싱크홀을 발생시키거나 촉진시키는 요인에는 지하수 물길 변화, 지진 발생, 하수관 노후 등이 있다. 이 가운데 '하수관 노후'의 경우 관리를 통해 싱크홀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수관 노후에 따른 지반 침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환경부는 노후한 하수관로를 정비하고 노후 하수관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하수관로 운영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