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 수돗물 불신 이유 '구미공단 배출 유해물질' 꼽아

입력 2018-08-08 17:46:05 수정 2018-08-08 18:53:02

대구수돗물대책위, 시민 1천2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대구 수돗물에서 발암물질(과불화화합물질)검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숙지지않고 있다. 시민들이 대구 두류공원 비상 급수대에서 생수를 담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대구 수돗물에서 발암물질(과불화화합물질)검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숙지지않고 있다. 시민들이 대구 두류공원 비상 급수대에서 생수를 담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대구시민 10명 중 6명은 '수돗물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하는 등 수돗물 불신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수돗물대구시민대책회의(이하 대구수돗물대책위)가 여론조사기관 세종리서치에 의뢰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중 65%가 '대구 수돗물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신뢰한다'는 응답은 11.4%에 그쳤고, 23.7%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대구 수돗물을 신뢰할 수 없는 이유로는 '구미공단에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 때문'(58.1%)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불확실한 대구정수시설'(23.8%), '노후된 상수도관'(12.7%) 등이 꼽혔다.

또 과불화화합물 사태에 대한 환경부 조치도 71.7%가 '불만족'이라고 답한 반면, '만족한다'는 은 5.1%에 불과했다.

환경부 조치에 불만인 가장 주된 이유는 정보공개 수준의 불투명성(40.5%)이 가장 많이 지적됐다. 이어'부적절한 후속 조치'(21.4%), '사과와 진상조사 미비'(15.3%), 빈약한 발표 내용'(12.7%) 등으로 조사됐다.

현실적인 수돗물 안전 대책에는 '한강 수계 수준으로 관련 법규를 강화해야 한다'응답이 32.5%로 가장 많았다.

'대구취수장을 구미공단 상류로 이전해야 한다'(25.3%)는 응답은 뒤를 이었다. 이 밖에 '구미 하ㆍ폐수 처리장 시설을 보완해야 한다'(20.5%), '취수원을 다변화해야 한다'(10.1%) 등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대구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상대로 ARS(자동응답시스템) 방식으로 진행됐다.

백경록 대구YMCA 관장은 "시민들이 더 이상 물 걱정을 하지 않으려면 구미공단의 유해물질 방류를 막아야 한다"며 "민관 합동으로 참여하는 화학물질 배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