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최근 2주간 전력수요 패턴 분석·8월 수요 재전망
정부가 거듭 빗나간 올여름 최대전력수요 전망의 재점검에 나섰다. 휴가철이 지나고 기업들이 조업에 복귀하는 8월 둘째 주부터 다시 전력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 그 전에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지난 2주의 전력수요 패턴을 분석하고 최근 업데이트된 기상 상황을 반영해 8월 둘째 주 수요 전망을 다시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 5일 발표한 하계수급대책에서 올여름 최대전력수요를 8천830만㎾로 전망하고 그 시기를 8월 둘째, 셋째 주로 예상했다. 그러나 지난 23일 최대전력수요가 9천70만㎾를 찍었다. 24일에는 역대 최고치인 9천248만㎾를 기록했다. 폭염이 8월 중순까지 이어지면 8월 둘째 주 최대전력수요도 9천만㎾를 넘길 가능성이 있다.
산업부는 올여름 기온이 기상청 예보보다 높고 예상 밖의 폭염이 이어져 전력수요를 정확히 전망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특히 여름철 전력수요 전망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기온인데 기상청의 중기예보는 10일까지다. 산업부가 하계수급대책을 지난 5일 발표한 점을 고려하면 7월 중순 이후로는 수요 전망에 활용할 기온 예보가 없었던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상청이 평년보다 덥다고 하면 평년 피크(최고점)에서 기온을 좀 올리는 방식으로 최대전력수요 범위를 설정하는데 지난 24일의 9천248만㎾는 아예 범위를 벗어난 이례적인 경우"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기온 상승에 따른 냉방 수요 증가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 측면도 있다고 보고 있다. 통상 여름에는 기온 1℃ 상승 시 전력수요가 평균 80만㎾가 증가하지만, 폭염이 계속될 때 냉방 수요가 얼마까지 상승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